낮 시간이 긴 여름철에 표준시간을 한 시간 앞당기는 서머타임(summer time) 제도가 27년 만에 부활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부가 내수활성화 차원에서 서머타임 카드를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달 중 발표할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의 한 축을 '내수 진작을 통한 경제활성화'로 잡고 서머타임 도입을 비롯해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확대 시행 등 다양한 소비 진작 정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서머타임 시행 논의는 이미 세계적인 추세인 데다가 국민의 여가시간이 늘면 소비 진작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또 관광 활성화와 에너지 절약 효과 등을 볼 수 있을 것으로도 알려졌다.
서머타임 제도는 지난 1948∼1956년과 서울올림픽을 전후한 1987∼1988년 두 차례 시행됐다가 중단된 바 있다. 1997년, 2007년, 2009년 등 경제상황이 어려울 때마다 재도입이 논의됐으나 노동계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서머타임을 도입할 경우, 근로 시간만 연장되고 에너지 절약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는 게 노동계를 중심으로 조성된 반대 여론이었다.
하지만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서머타임을 도입하지 않은 곳은 백야현상이 있는 아이슬란드와 한국밖에 없을 정도로 서머타임은 '글로벌 스탠더드'(세계 표준)로 자리 잡았다는 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한국과 함께 서머타임을 도입하지 않고 있던 일본은 올해 7월부터 근로시간이 긴 데 비해 삶의 질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서머타임을 도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