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교육계 비리와 감독 소홀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학생들은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도 전에 부끄러운 어른들의 민낯을 보면서 학교를 떠나는 분위기다.
세종시의 교육 문제는 유일한 사립학교인 성남고에서 불거졌다. 최근 교직원 채용 과정에서 돈을 주고받으며 시험지를 유출했다는 정황이 검찰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검찰은 성남고 재단인 대성학원 이사장에게 징역 2년과 추징금 2천만원을, 채용 비리를 주도한 상임이사 부부에게 각각 징역 5년과 3년을 구형하고 2억4천200만원씩의 추징금을 부과했다. 또 채용을 전제로 금품을 제공하거나 부정 채용된 23명도 징역 8월~2년을 구형했다. 이사진 8명 전원이 사퇴해 학교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이다.
세종시학교안전공제회(이하 공제회)는 전임 교육감의 친인척과 선거운동원을 각각 6급과 7급 상당의 직책에 부정 채용한 사실이 세종시감사위원회(이하 감사위) 자체감사에서 적발됐다.
감사위에 따르면 공제회 전 이사장 A씨는 신규 직원 채용 과정에서 신정균 전 교육감의 부탁으로 신 전 교육감의 친인척 B씨와 선거운동을 도와줬던 C씨를 부정 채용했다. 감사위는 A 전 이사장을 해임하고 부정 채용된 B씨와 C씨에 대해서도 해임 검토 결정을 내렸다.
이 밖에도 감사위는 공제회를 지도·감독해야 할 시교육청의 업무 소홀을 지적했다. 시교육청은 공제회의 기금 확충계획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요청한 10억원 전액을 지원해 세종시의 학생 1인당 기금 규모를 전국 최고 수준으로 만들었다. 세종시공제회 기금 규모는 학생 1인당 8만3천600원으로, 2014년 전국평균(1만2천700원)을 크게 웃돌았다.
지역 교육 감독을 총괄해야 할 교육감은 내치보다는 정치에만 관심이 있는 듯하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에 나서는 등 정치적 행보만 강조해 온 것이다. 청와대 앞에서 1인 시위를 강행하는 등 최근 신설 학교 공사 담당 공무원 비리가 감사원에 적발된 후 시민단체로부터 제기되는 사과 요구 등의 시선을 밖으로 돌리려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세종시의 학업 중단 학생이 지난 3년간 1.7배나 늘어나는 등 학생들의 학업 포기 사태는 늘고 있다. 지난해 세종시 초·중·고교에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은 171명으로 2012년 101명에 비해 1.7배 늘었다. 특히 학업 중단 예방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학업중단숙려제' 실적도 전국에서 유일하게 하락했다. 교육계 어른들의 민낯을 본 학생들이 하나둘씩 교실을 떠나고 있는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