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귀어귀촌 상담도 지방 홀대?

센터 민간 이관 서울 이전 논란 "수도권 편의주의식 행정" 시끌

귀어귀촌민을 상대로 필요한 사항을 상담해 주던 기관의 서울 이전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상담 인구가 많은 지역 실정을 무시하고 또다시 수도권 편의주의식 행정을 편다는 지적 때문이다.

사건의 발단은 해양수산부 산하 귀어귀촌센터가 민간으로 이관되면서 서울 민간기관에 업무를 위탁한 데서 비롯됐다. 서울 등 수도권 귀어귀촌 상담 수요가 많은 상황이라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도권으로 이전했다는 것이 해수부 측 설명이다.

하지만 경북 동해안과 부산 등에서는 지난해 전화 상담이 전체 상담의 73%(1천494건)를 차지한 상황에서 굳이 서울로 센터를 옮기는 것은 비수도권 수요자를 도외시한 '행정 편의'라는 말이 나온다. 수산업계도 접근성을 이유로 센터를 옮기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수요가 많은 수도권은 집중적으로 관리하면서 53%의 상담 수요가 몰린 비수도권을 홀대한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예산이 지난해(10억원)보다 2억여원 삭감돼 전문 상담인력이 5명에서 3명으로 줄어든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해수부는 별도 해명자료를 내고 "시'군별 '귀어귀촌지원센터' 설립 지원 및 유관기관과의 업무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귀어'귀촌 지원 조직을 전국화하고, 모든 귀어'귀촌 수요자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올해는 지난해 대비 약 30%가 증액된 예산을 편성하는 등 귀어'귀촌 활성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해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