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세대에서 개인 노력으로 사회경제적 지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해마다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식세대의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여유진'정해식 연구위원 등은 이런 내용을 담은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Ⅱ' 연구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신의 세대에서 열심히 노력하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은 2009년 37.6%에서 2011년 32.3%, 2013년 31.2% 등으로 그나마 30%선을 유지하다가 2015년에는 22.8%로 20%선으로 뚝 떨어졌다. 10명 중 2명꼴에 불과한 셈이다.
이에 반해 계층상승 가능성이 '작은 편'이라는 부정적 응답은 2009년 45.6%에서 2011년 54.9%, 2013년 54.2% 등의 다소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5년 61.3%로 치솟았다. 자식세대의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응답은 2009년 48.3%에서 2011년 41.4%, 2013년 39.6%, 2015년 30.1% 등으로 가파르게 줄어들었다.
반면 계층상승 가능성이 '작은 편'이라는 응답은 2009년 29.8%에서 2011년 42.7%, 2013년 42.8% 등으로 오르다 2015년에는 51.4%로 급등했다. 조사 대상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응답 비율에 조금은 차이가 있지만, 부정적 인식은 소득계층을 가리지 않고 증가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