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가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인 약 122조원 급증하면서 1천20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잠정치)이 1천207조원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다.
한국은행이 가계신용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후 사상 최대 기록이며, 1천200조원 선을 넘어선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2014년 말 가계신용 잔액은 1천85조3천억원이었으나 1년 새 사상 최대 규모 증가치인 무려 121조7천억원(11.2%)이 늘면서 1천200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가계 부채 증가율은 2006년(11.8%)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특히 가계 부채 증가 속도가 소득 증가율보다 훨씬 빨랐다. 통계청 가계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 증가율은 1분기 2.6%, 2분기 2.9%, 3분기 0.7%로 집계됐다.
특히 가계신용의 분기 증가 규모는 지난해 1분기 13조원, 2분기 33조2천억원, 3분기 34조4천억원에 이어 4분기엔 41조1천억원에 달했다. 분기 증가 규모로도 사상 최대치였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대부업체'공적금융기관 등 금융회사에서 받은 대출뿐만 아니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합친 금액이다. 현 가계 부채 총액 1천207조원을 우리나라 인구 수 5천만 명으로 나누면 1인당 평균 약 2천400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셈이 된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의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계는 세금, 건강보험료 등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의 25%를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 빚을 져서 금융취약층으로 분류되는 다중채무자가 지난해 11월 현재 353만 명에 이르며,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아 금융순자산이 마이너스 상태이고,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중이 40%를 넘는 '한계가구'도 158만 가구로 추산됐다.
올해도 집단대출의 영향 탓에 가계 부채 증가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1월 은행의 가계 대출 증가액은 2조2천억원(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양도분 포함)에 이른다. 지난해 12월(6조9천억원)보다는 줄었지만 1월 기준으로만 따졌을 때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빚이 워낙 많다 보니 지갑을 닫을 수밖에 없고, 결국 내수가 위축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아울러 금융시장에 충격이 발생하면 파급 효과가 커서 경제 전반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집값 하락, 금리 인상 등이 생기면 가계 부채가 많은 저소득층, 자영업자, 고령층 등이 타격을 받게 된다.
정부는 올해 가계부채 전망에 대해 "총량 증가세는 둔화하고 구조개선은 가속화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은행 및 보험권에 대출 원리금을 처음부터 나눠 갚도록 유도하는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안착되면서 전체 부채 규모의 증가 속도는 줄고 부채의 질도 개선될 것이라는 평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