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국민 중 3분의 1가량은 '함께 있는 시간이 적다'는 등의 이유로 TV를 주로 혼자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방송통신위원회의 '2015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3세 이상 남녀 중 가족 구성원 2명 이상인 6천637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한 결과, '최근 1주일 이내에 가족과 함께 TV를 시청한 적이 없다'는 응답자가 33.0%나 됐다.
가족과 함께 TV를 보지 못한 이유로는 60.9%가 '집에서 함께 모여 있는 시간이 적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27.2%는 '서로 선호하는 TV 프로그램이 달라서', 5.6%는 '교육적 문제 또는 기타 사유로 집에서 TV를 거의 틀지 않는다'라는 이유를 꼽았다.
반면 전체 조사 대상의 67.0%는 '최근 일주일 이내에 가족과 TV를 시청한 적이 있다'고 답했고, 가족 동반 TV 시청시간은 하루 평균 92.8분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가족과 함께 TV를 주로 시청하는 시간대는 '오후 9~12시'가 49.3%, '오후 6~9시'가 42.8%로, 퇴근이나 하교 이후 시간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1주일에 5일 이상 가족과 함께 시청하는 프로그램 장르는 뉴스가 38.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드라마가 19.2%였다.
가족과 1주일에 하루 이상 같이 보는 프로그램으로는 뉴스(76.1%), 드라마(67.7%)에 이어 오락/연예가 58.1%로 뒤를 이었다.
13세 미만 자녀를 둔 1천247명 가운데 49.2%는 평소 자녀와 함께 TV를 시청한다고 답했으며, 54.5%는 프로그램별 시청 가능 연령에 맞춰 자녀의 시청을 제한한다고 응답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민주 "전날 협상한 국힘과의 '3대 특검안' 최종 결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