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간을 투자해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모습부터 2016년 현재 모습을 고스란히 보고 마음에 새길 수 있도록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타임머신이 전북 군산시에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인문도시인 군산시는 일제강점기 아픈 기억의 역사가 고스란히 묻어 있는 원도심을 교육역사문화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1930년대로 떠나는 군산 시간여행'을 테마로 대대적인 정비에 나선 것이다. 일제 수탈의 아픔과 경제발전의 변모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군산 근대역사문화를 찾아 1930년대로 시간여행을 떠나보자.
◆시간여행 출발점, 근대역사박물관
군산의 근대역사문화 기행은 근대역사박물관을 시작으로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진 근대 건축물들과 벨트를 형성해 원도심으로 이어진다.
2011년 9월 개관한 박물관은 개관 이후 매년 외지 관광객들이 몰리면서 현재까지 200만 명에 가까운 관람객이 찾았다. 월평균 2만~3만 명이 방문하는 근대역사박물관은 총 182억원이 투입돼 원도심 지역인 월명동 부지 8천347㎡에 건물 연면적 4천248㎡,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해양물류역사관(509㎡), 어린이체험관(126㎡), 근대생활관(617㎡), 기획전시실(231㎡)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해양물류역사관은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서해안 물류중심지로 자리 잡아 온 군산항의 역사를 시대별로 전시하고 있다.
근대생활관은 '1930년대 시간여행'을 주제로 당시 내항과 부잔교(뜬다리), 인력거차방, 영명학교, 상가 등 1930년대 군산에 실존했던 건물을 실제 크기로 복원해 과거로의 시간여행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박물관 자원봉사자들이 배우로 나서 근대 군산을 배경으로 소설 '탁류'의 미두장 앞 정주사 장면, 소설 '아리랑'의 부둣가 노동자의 삶과 쌀 수탈 장면, 군산 영명학교와 3'1만세운동 등을 관람객들과 함께 연극화해 선보이고 있다.
또한 살아있는 박물관 연극 공연도 병행, 쌍천 이영춘 박사의 삶과 일제강점기 실존했던 독립운동 학생을 주인공으로 공연을 진행하면서 어린이 관람객들에게 군산의 역사와 문화에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근대역사박물관 관람이 끝나면 일제강점기 한국과 대륙의 경제수탈을 목적으로 일제에 의해 건립된 옛 조선은행 군산지점(국가문화재 제374호)으로 발길을 옮겨 보자.
조선은행 군산지점은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곡물 반출과 토지 강매를 위해 설립된 금융기관으로, 채만식의 소설 '탁류'(濁流)에도 등장하는 곳이다.
또한 일본 제18은행 군산지점(국가문화재 제372호)을 관람하면 당시 은행이 가진 건축물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이어 바닷가 내항 부잔교와 함께 진포해양공원에 영구히 정박한 위봉함 내부도 둘러볼 수 있으며, 수탈한 쌀을 저장했던 미곡창고인 장미공연장과 적산가옥이었던 장미갤러리, 카페테리아로 변신한 옛 미즈상사 건물 등도 볼 수 있다.
특히 1908년 대한제국이 건립한 옛 군산세관(전라북도 기념물 제87호)은 서울역사, 한국은행 본점 건물과 함께 국내 현존하는 서양 고전주의 3대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히며 근대역사벨트화지구에 집적돼 있다.
◆근대역사문화 경관지구의 또 다른 볼거리
군산의 주요 근대역사 콘텐츠들은 박물관을 중심으로 걸어서 20분 정도에 모두 위치해 근대역사문화 경관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근대역사문화 경관지구는 영화동, 월명동, 신흥동, 금광동으로 이어지는 데, 신흥동 일본식 가옥과 '8월의 크리스마스' 촬영지였던 초원사진관, 1930년대 풍을 살린 숙박시설 '고우당'을 거쳐 국내 유일의 일본식 사찰 동국사를 걸어서 돌아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 군산에서 포목점과 소규모 농장을 운영하던 일본인 가옥이었던 신흥동 일본식 가옥(국가문화재 제183호)은 'ㄱ'자 모양의 2층 가옥과 일본식 정원이 있는 2층 가옥으로 영화 '장군의 아들' '타짜' 등의 촬영지로 유명하다. 1930년대 근대건축물을 보수'정비해 숙박체험 시설과 카페, 식당 등으로 변신한 '고우당'은 일대가 근대역사체험공간으로 조성됐다.
근대역사문화 경관지구에는 100년 전통의 제과점과 60년 전통의 중국집을 비롯해 콩나물해장국, 무국, 생선탕, 칼국수 등 군산의 맛을 느껴볼 수 있다.
◆'구불길' 2시간 정도 걸으면 근대역사문화 섭렵
군산에는 군산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담아내는 도보여행길 '구불길'이 있다. 구불길은 비단강, 햇빛, 미소, 큰들, 구슬뫼, 물빛, 달밝음, 탁류, 신시도, 새만금, 고군산 등을 주제로 11개 코스로 구성돼 있다.
이 중 군산의 근대역사문화를 둘러볼 수 있는 길은 '탁류'길이다. '탁류'길은 백릉 채만식의 소설 '탁류'의 배경지인 군산 원도심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남겨진 역사의 흔적과 선조들의 삶의 애환을 경험하며 과거를 돌아볼 수 있는 길이다.
군산 근대역사박물관을 출발해 옛 군산세관, 월명동주민센터, 수덕산공원, 군산서초등학교, 해망굴(흥천사), 월명공원 수시탑, 구불길 탐방지원센터, 신흥동 일본식 가옥, 초원사진관, 이성당, 고우당, 동국사, 선양동 해돋이공원, 정주사집문학비, 한참봉쌀가게문학비, 개복동 예술의거리, 빈해원, 군산진사적비, 옛 조선은행, 군산농특산물홍보갤러리, 미즈카페를 거쳐 다시 박물관으로 돌아오는 총 6㎞ 코스를 이용하면 2시간 내에 군산의 주요 근대역사문화 콘텐츠를 모두 돌아볼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