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도 받지 못하는 이른바 '열정페이' 상황에서 일하는 청년 임금근로자가 6명 중 1명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활용'산출해 24일 발표한 '청년 열정페이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열정페이 청년은 2011년 44만9천 명에서 지난해 63만5천 명으로 4년 새 18만6천 명 증가했다. 전체 임금근로자 청년 중 열정페이 청년 비중도 12.3%에서 17.0%로 늘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열정페이 비중이 컸다. 임금근로자 청년 중 열정페이 청년의 비중을 연령별로 보면 15∼19세는 2011년 51.7%(11만8천 명)에서 지난해 57.6%(14만8천 명)로 5.9%포인트(p) 높아졌고, 20∼24세는 19.4%(21만6천 명)에서 25.1%(34만7천 명)로 5.7%p 높아졌다. 이에 반해 25∼29세는 5.0%(11만6천 명)에서 6.7%(14만1천 명)로 1.7%p 상승하는 데 그쳤다.
특히 서비스업에서 열정페이가 급증했다. 서비스업의 임금근로자 청년 중 열정페이 청년의 비중은 2011년 14.1%(40만8천 명)에서 지난해 20.0%(59만4천 명)로 5.9%p 상승한 데 비해 제조건설업에서는 5.0%(3만8천 명)에서 5.1%(3만9천 명)로 상승 폭이 0.1%p에 그쳤다.
아울러 2011년 기준 열정페이 청년의 월평금 임금은 63만6천원으로 '비(非)열정페이 청년' 161만9천원의 39.3%에 불과했고, 지난해에도 열정페이는 70만6천원으로 비열정페이(185만3천원)의 38.1%에 그쳤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저임금 미만의 저임금 노동이 불법인 만큼 열정페이 근절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