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미세먼지 대책에 소홀한 대구시와 경북도

지난 주말, 대구'경북의 미세먼지 농도가 한때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23일 대구'경북 전역이 미세먼지 예보 최고 단계인 '매우 나쁨' 수준을 보였고 대구와 안동, 경산 등에는 '미세먼지 경보'까지 발령됐다. 이처럼 시민들의 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데도, 예보관청인 대구시와 경북도는 왜곡된 자료를 내놓거나 대책 마련에 소극적이다.

23일 대구시는 오전 7시 '미세먼지 주의보'를 내린 데 이어 오전 9시 주의보보다 한 단계 높은 '미세먼지 경보'를 발령했다. 대구에 '미세먼지 경보'(농도 300㎍/㎥'2시간 이상 지속)가 발령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낮 12시 대구의 미세먼지 농도는 338㎍/㎥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안동'경산 등은 23일 경보가 내려졌다가 24일 주의보로 낮춰지거나 해제됐다.

이제 대구'경북 지역은 '소리 없는 암살자'로 불리는 미세먼지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미세먼지는 금속'오염물질 등이 함유돼 심장 및 순환기'호흡기 질환자에게는 치명적이다. 대구'경북에 미세먼지 농도가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당시 기상 상황과 지형적인 영향 등 일시적인 현상이라고는 하지만, 가만히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이 와중에 대구시는 왜곡된 자료를 내놓아 시민들을 헷갈리게 했다. 대구시는 지난 22일 대구스타디움, 두류공원 등 도심공원 4곳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해 '안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보도자료를 냈다. 지난달 11일부터 이달 2일까지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57㎍/㎥이라고 했다. 그런데 다음 날인 23일 대구 전역에 '미세먼지 경보'가 발령돼 웃음거리가 됐다. 아무리 예측이 어렵다고 하나, 미세먼지에 대한 이해 부족, 조사 불충분 등의 허점을 드러냈다.

미세먼지 발생은 황사 영향이 30~50%, 대기오염 영향이 50%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경유차 이용을 자제하는 방안을 만들거나 대기오염 배출 등을 차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미세먼지 특보 때 실외 활동 자제 권고를 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가 전혀 없다는 것도 문제다. 시민 스스로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계도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