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형 조선 임원 감축, 중소 업계는 단계적 정리키로

대우조선해양 노사와 삼성중공업은 26일 대형 조선소에 대한 정부의 더 강력한 자구계획 요구에 대해 새로운 자구계획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은 이전 채권단과 약속한 3천 명 감원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이날 설명했다. 회사는 임원 30%와 부장 300명 이상을 이미 내보냈으며 나머지 인원 감축도 자연 퇴사 등으로 2019년까지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또 정부의 요구안에 대해 별도의 인원 감축 계획을 세우고 급여체계 개편안과 비용절감 계획을 세워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정부에서 구체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에서 요구하는 세부 내용이 뭔지 확인되면 여기에 맞춘 인원 감축 등 새로운 구조조정 내용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우조선 노조는 안도했다. 노조 측은 "정부에서 합병이나 통합은 없다고 해서 다행이다"면서 "정부에서 요구하는 것이 이미 알려진 3천 명 감축 그 이상인지, 어느 정도 선인지 등이 명확하지 않다.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면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 조선업종 노조연대(조선노련)가 계속 요구하는 조선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사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삼성중공업 측도 지난해부터 희망퇴사를 통해 인력을 감축하고 있지만, 주채권 은행의 요구안이 나오는 대로 추가로 자구계획을 수립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현대중공업그룹 조선 관련 5개 계열사 대표들도 이날 전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담화문을 발표했다. 5개사 대표들은 담화문을 통해 회사 경영실적 설명과 함께 앞으로 다가올 일감 부족에 대한 우려, 비용절감 방안 등을 설명하고 '회사 살리기'에 임직원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호소했다.

정부가 조선'해운산업 판을 새롭게 짜기로 하면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STX조선'성동조선'SPP'대선조선 등 부산'경남지역 중소 조선소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

정부는 SPP(경남 사천시), 대선조선(부산 영도구) 등 소형 조선사를 단계적으로 정리하기로 했다. 중견 조선사인 STX조선과 성동조선에 대해선 변화된 대내외 여건을 감안해 정상화 가능 여부를 다시 점검할 계획이다. 업계에선 STX조선(경남 창원시)과 성동조선(경남 통영시) 등은 법정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반응이다.

STX조선은 지난해 법정관리로 전환하는 방안이 검토됐지만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신규 자금 4천530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해 구조조정을 먼저 진행하고 있다. 또 성동조선은 채권단이 지난해 삼성중공업에 사실상 위탁경영을 맡겨놓은 상태다. 대선조선은 소형 탱커와 컨테이너선, 연안여객선에 특화된 조선소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정부의 구조조정에 대한 반응은 엇갈린다. 조선에 대해서는 '정부가 일단은 회생 기회를 준 만큼 최악의 사태는 피했다'는 안도감과 '미봉책 구조조정이 조선산업 전체의 부실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뒤섞이고 있다. 해운업계는 "정부가 8년째 회사채 정상화 방안, 선박펀드 조성 등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한 대책만 남발하면서 골든타임을 놓치고선 뒤늦게 큰소리를 친다"고 꼬집었다.

경남신문 이회근 기자 leehg@knnews.co.kr 지광하 기자 jikh@knnews.co.kr

부산일보 이정희 이주환 박진국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