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에서 현역의원이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를 했던 대구 동갑, 동을, 수성을에서 새누리당 소속 지방의원들의 고심이 깊다.
3곳의 지방의원들은 총선 과정에서 '정치적 도의' 또는 '당인의 의무'를 두고 고심하다가 둘 중 하나를 선택했지만, 총선 뒤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대구 수성을 소속 이동희 대구시의회 의장과 김창은 시의원은 요즘 수성을 당선자인 주호영 의원과의 관계 개선에 애를 먹고 있다. 이 의장과 김 시의원은 총선 과정에서 주호영 의원을 따라 탈당하지 않고 새누리당 공천을 받은 이인선 후보를 도왔기 때문이다.
주호영 의원은 두 시의원에게 선거 과정에서 도움을 요청했지만, 두 시의원은 고심 끝에 당인의 의무를 선택했다. 하지만 주호영 의원이 새누리당으로 복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앞으로 정치 행보에서 주 의원과 두 시의원과의 관계가 껄끄러울 수밖에 없다.
대구시의회 한 관계자는 "차기 시의장에 도전할 김창은 시의원이 주호영 의원의 도움을 받을 수 없게 됐다"고 전망했다.
동갑 소속인 강신혁 시의원도 총선 전 정치적 도의를 지키기 위해 류성걸 의원과 함께 탈당했다. 강 시의원은 최근 류 의원과 함께 복당 신청을 해 복당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반면 동을 소속 시의원인 도재준, 윤석준 시의원은 정치적 도의와 실리를 동시에 챙겼다는 평을 듣고 있다.
두 시의원은 총선 전 유승민 의원과 함께 동반 탈당했다. 탈당 당시에는 무모하다는 시각도 있었지만 높은 득표율로 유 의원이 당선된 데다 새누리당이 총선 참패로 인해 무소속 당선자의 복당 방침을 정하면서 상황은 역전됐다.
두 시의원은 탈당 당시와 복당 신청 당시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도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두 시의원은 최근 유 의원과 함께 새누리당 대구시당에 복당 신청을 해 복당 시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도재준 시의원은 김창은 시의원과 함께 차기 시의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어 복당 여부가 중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새누리당 한 관계자는 "오랫동안 관계를 맺은 탈당 국회의원에 대한 도의와 당인의 의무 사이에서 고민했던 시의원들이 총선 뒤 당선자의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면서 "정치적 소신보다는 국회의원들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시의원들의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