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승리를 이끈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체제'의 유지 여부가 내달 3일 결정된다.
더불어민주당은 27일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어 내달 3일 당선자-당무위원 연석회의 및 당무위원회를 잇따라 개최해 차기 전당대회 시기를 결정하기로 했다.
정장선 총무본부장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당헌 부칙에는 총선 이후 처음 개최하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를 선출한다고만 돼 있고 시기는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며 "조기에 전당대회를 열어야 한다는 의견과 연기하자는 의견이 있기 때문에 최소한 당무위원과 당선자들이 모여 시기를 결정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이 이처럼 지도체제 정비에 속도를 내는 이유는 전당대회 문제로 당내 갈등이 확산될 경우 총선에서 얻은 점수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아울러 제20대 국회에서 캐스팅보트를 행사할 국민의당이 전당대회 연기 합의에 이어 이날 '박지원 원내대표-김성식 정책위의장' 체제를 확정하고 정치권의 화두를 선점해가자 자칫 당내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정국주도권을 내줄 수 있다는 위기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는 전당대회 개최 여부와 시기 및 방식을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주장하는 측에서는 총선이 마무리된 만큼 당의 체제를 '비상 상황'에서 '정상'으로 돌려놓아야 하고 그 출발점이 지도부 구성을 위한 전당대회 개최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전당대회 연기를 주장하는 진영에서는 총선 후 곧바로 당권경쟁에 몰입할 경우 총선승리 기운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기 때문에 전당대회를 서두를 필요는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특히 양측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에 대한 예우를 두고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