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내년도 예산이 올해보다 3.7% 늘어난 400조원의 '슈퍼예산'으로 책정됐다. 한해 예산이 400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가 30일 국무회의에서 처리한 '2017년도 예산안'은 총 400조7천억원으로 전년(386조4천억원) 대비 증가율은 3.7%(14조3천억원)다. 올해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포함한 총지출(395조3천억원)에 비해서는 1.4% 늘어나는 수준이다.
보건'복지'노동 등 9개 분야 예산이 증가한 반면 SOC와 산업, 외교'통일 등 3개 분야는 감소했다.
증가율이 전체 예산보다 높은 분야는 보건'복지'노동(5.3%), 일반'지방행정(7.4%), 교육(6.1%), 국방(4.0%), 문화(6.9%) 등 5개다. 특히 보건과 노동을 포함한 복지 예산은 일자리 창출과 맞춤형 복지 확대, 복지'의료사각지대 해소 등으로 사상 처음 130조원으로 불어났다.
일자리 예산이 17조5천억원으로 10.7%, 청년 일자리 예산이 2조7천억원으로 15% 증액됐고 복지 예산 총 비중은 32.4%로 사상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대구시의 국비 예산은 내년에도 3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2010년 이후 8년 연속이다. 30일 확정된 내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대구는 2조9천900억원을 확보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대구순환고속도로 건설 1천억원 ▷도시철도1호선 하양연장 건설 290억원 ▷1t 경상용전기자동차 개발사업 40억원 등이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의 보조사업 10% 축소 원칙에도 3조원 돌파는 고무적"이라며 "다만 신규사업이 크게 반영되지 못해 아쉽다"고 했다.
경북도는 지난해와 비슷한 12조원대의 국비 예산을 확보할 전망이다. 대구권 광역철도 예산 178억원을 확보해 구미~대구~경산을 잇는 철도망 구축이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중부내륙 지역의 교통 여건을 개선하는 중앙선 복선전철화(도담~영천) 사업비 7천50억원을 확보했다.
그러나 대구시'경북도가 함께 추진했던 대구 북구 산격동 경북도청 이전터 개발사업(500억원)은 내년 국가 예산에 반영하지 못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국힘 윤리위, '대선후보 교체시도' 권영세·이양수 징계않기로
정청래 "어제 연설도중 국힘 역대급 망언…제2의 노상원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