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없이 1주일 만에 끝난 시리아 휴전을 되살리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이 미국과 러시아의 견해차만 확인한 채 결실을 보지 못했다.
시리아 최대 격전지인 알레포에서는 연일 공습이 이어지면서 민간인 사상자가 속출하고 있다.
AP'AFP통신에 따르면 미국과 러시아 외무장관이 공동의장을 맡은 국제시리아지원그룹(ISSG) 대표단은 22일(현지시간) 유엔 총회가 열리고 있는 미국 뉴욕에서 시리아 휴전 복구 문제를 두고 협상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공습이 이뤄지고 있는 알레포 등지에서 시리아 정부 공군기의 발진을 막아야 한다는 미국의 제안을 러시아가 거부하면서 협상이 결렬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케리와 러시아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리아 적대 행위 중단에 합의하면서 12일 휴전이 시작됐다.
그러나 미국 주도 연합군이 시리아 육군 기지를 오폭하고 러시아와 시리아가 이에 크게 반발한 가운데 휴전 연장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휴전이 사실상 끝났고 19일에는 구호차량 폭격으로 긴장감이 커졌다.
케리 장관은 23일 다시 라브로프 장관과 회동할 예정이지만, 휴전 재개 합의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은 미미한 상황이다.
뉴욕에서 휴전 복원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을 때 시리아 최대 격전지인 반군 장악지역 알레포에서는 휴전 종결 직후부터 이날 오후까지 공습이 이어지고 있다.
21∼22일 밤사이 폭격으로 수십 명이 사망하는 등 최근 몇 개월 사이에 최악의 공습이 일어나고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알레포 주민들은 "하늘에서 불이 떨어졌다"며 공습을 증언하고 있으며 알레포 구호단체는 공습으로 21일까지만 모두 49명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알레포 알칼라세 지역에서는 일가족 7명이 공습으로 모두 숨졌고, 사망자 중에는 14살 소년과 5살 아이는 물론 9개월 된 아기도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사망자와 부상자가 너무 많아 병원은 처참한 모습이라고 가디언은 전했다.
한 활동가는 "알레포 하늘에서 항공기가 떠나지 않으면서 계속 무차별 공습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유엔 구호대는 수도 다마스쿠스 남서쪽 반군 장악지역 모아다미예트 등에 4만 명의 식량을 전달하는 등 구호활동을 재개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