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덕군 "원전 전면 중단"…정부에 지진문제 대책 요구

한수원 예정부지 출입 불허

박근혜정부가 식물정권으로 전락하면서 현 정부 최대 국책사업 중 하나인 영덕 원자력발전소 건립 계획이 추진 동력을 상당 부분 상실한 가운데 영덕군이 원전 추진 전면 중단을 선언했다. 영덕 원전이 사실상 물 건너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원전 예정부지로 고시된 영덕군은 영덕군의회 및 32개 사회단체와 7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영덕원전 추진 전면 중단을 선언했다.

이희진 영덕군수는 7일 도의원'군의원'기관 사회단체 관계자 등 100여 명과 함께 영덕군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가진 자리에서 "경주 지진 이후 동해안 일대 단층대에 대한 불안감이 군민들 사이에 높아졌다. 원전 예정 부지에 대한 지질조사를 통해 안전문제가 확실하게 담보될 때까지 원전 추진 전면 중단을 정부에 요구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 군수는 전날 지역구 활동차 영덕에 내려온 강석호 국회의원과도 원전 추진 중단에 대한 교감을 이뤄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군수는 또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영덕 원전을 추진하면서 지난 2014년 영덕군에 제안한 10대 제안사업에 대한 업무협의 중단, 그리고 한수원의 영덕군 해당 토지 출입도 계속해서 불허한다고 밝혔다.

사실상 영덕군 전체가 나서 원전 추진 전면 중단을 선언한 이유와 관련, 영덕군민들의 당초 기대보다 중앙정부와 한수원의 지원 규모가 너무 적은데다 경주 강진 이후 안전 우려가 커진 때문으로 영덕군 안팎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영덕군의 민관합동 자문위원회인 영덕군발전소통위원회도 지난달 13일 원전을 선호하던 기존 입장에서 급선회, "영덕을 지나는 양산단층에 대한 지질 연구가 이뤄질 때까지 영덕 천지원전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을 모으고 이를 영덕군수에게 건의했으며 이후 영덕군의 전반적인 여론이 원전 유보 쪽으로 급속히 반전됐다.

11일엔 원전반대단체들이 영덕에서 찬반투표 승리 1주년 기념대회를 2천여 명이 참가하는 전국적인 행사로 열 계획이어서 원전 반대 여론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2년 9월 신규 원전 예정부지가 고시된 영덕 천지원전사업은 영덕군 영덕읍 석리'매정리'노물리 일대 324만2천여㎡에 2024년까지 1천500㎿급 가압경수로형 원자로 4기를 건설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