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정진석 원내대표까지 나서 공개적으로 사퇴 요구를 했지만,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내가 정국을 풀어야 할 책임대표"라며 자신의 퇴진 요구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그러나 이 대표의 당내 입지는 더욱 좁아지는 모양새다. 더불어 이 대표와 '공동운명체'인 친박 지도부도 운신의 폭이 확 좁아졌다. 당 안팎에서 그의 사퇴를 종용하고 있고, 사퇴 압박은 갈수록 강해지고 있다. 이 대표의 버티기로 새누리당은 분당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이날 박근혜 대통령은 정세균 국회의장을 만나 야당의 영수회담 전제 조건인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의 지명을 철회했다. 또한 '실질적 내각 통할'을 약속하면서 야당의 대통령 권한 이양 요구까지 받아들이는 모양새를 취했다.
그럼에도 박 대통령의 '복심' 이 대표는 퇴진 요구에 귀를 막으면서 벼랑 끝으로 몰리는 형국이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온 세상이 박 대통령에게 돌팔매 하더라도 날아오는 돌을 내 몸으로 막아내겠다는 이 대표의 진심을 믿는다"면서도 "이것은 바른 선택이 아니다"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비박계 당직자의 '사퇴 러시', 당내 대선주자들까지 사퇴를 요구하고 있지만 이 대표는 요지부동이다. 이 대표는 "저는 위기를 제대로 관리하고 사태를 수습하고 당이 결코 표류하거나 떠내려가지 않도록 할 책임 있는 당 대표"라며 "우선은 이 상황에 대해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했다.
우선은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를 수습한 후에야 당 대표직을 떠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 당내에서는 '진박' 몇 명을 빼고는 이 대표를 불신임해 대표직을 유지하더라도 '권한 행사'는 힘든 '식물 대표'로 보는 시각이 많다.
한 비박계 인사는 "대통령이 야당의 요구를 수용한 상태에서 우리 당도 진일보한 한 걸음을 나가려면 적극적 협상이 필요한데, 지금 이 대표로는 될 일도 안 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가 버티는 이유는 현시점에서 당권을 내려놓으면 '최순실 사태'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친박계가 결국 '폐족' 수순에 직면할 것이라는 위기감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대표직 유지는 여당 몫의 총리 추천권까지 발휘하려는 의도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이 대표를 비롯한 친박 지도부의 퇴진은 당분간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태 수습의 공이 국회로 넘어왔고, 또 야당과의 중요한 협상 키를 쥔 현 지도부를 야당이 인정하지 않는데 대한 수습 지연, '분당'까지 거론되는 당내 내홍 등 위태로운 상황 속에서 과연 이 대표가 장시간 버틸 수 있을지, 정치권의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