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이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를 두고 장외투쟁 동참을 합의하는 등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으나 당과 당내 계파, 또 대선 주자들마다 셈법이 다르다. 이처럼 야권이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면서 청와대 및 여당과의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국정 표류의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우선 이번 사태의 수습책으로 야권은 박근혜 대통령의 '2선 퇴진'을 한목소리로 내고 있으나 그 범위를 놓고는 미묘한 해석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통령의 '2선 후퇴'를 식물 대통령으로 전락시키자는 주장과, 내치와 외치를 구분해 외치에서는 대통령이 어느 정도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전권 이양'을 주장하고 있다. 추 대표는 9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3당 대표 회동에서 "대통령은 이제 더 이상 외치든 내치든 자격이 없다"며 "(내치든 외치든) 지금의 대통령은 국정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강경 기조엔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와 박원순 서울시장도 동참한다. 안 전 대표는 이날 박 시장과 조찬 모임을 갖고 "지금 내치 외치 나누는 얘기 나오지만 그건 나눌 수 없다"고 말했고 박 시장도 "국민의 요구는 한마디로 대통령이 즉각 물러나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책임총리' 대신 '대통령 권한대행'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대통령의 전권을 넘겨받자는 주장도 나온다. 이 같은 기류와는 다르게 외치 등에서는 대통령의 권한을 어느 정도 인정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주장도 제기된다.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는 "일단은 적어도 내정에 대해서 손을 떼야 한다"며 당 지도부의 강경 기조에서 한발 물러섰고, 이해찬 전 국무총리 역시 7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를 운영해 보니 (외교 분야에서는) 총리가 갈 수 있는 회의가 있고 대신할 수 없는 회의가 있다. 대통령이 갈 곳에 총리가 대신 가면 큰 나라 대통령들은 상대도 안 해주더라"면서 대통령의 독자적 영역이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손학규 전 대표는 "대통령이 모두 내려놔야 한다"면서도 "하야나 탄핵은 안 된다"는 입장이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최근 (총리가 내치'외치를 모두 맡는) 그런 디테일한 문제는 지금 논할 때가 아니다"며 논쟁 자체를 꺼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