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간의 회담이 무산된 후 대화'타협을 통한 정국 해법은 점차 불가능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2선 후퇴'나 '퇴진' 등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고, 더민주는 당론을 '2선 후퇴'에서 '즉각 퇴진'으로 변경했다. 문재인 전 대표까지 가세해 퇴진운동에 적극 나서겠다고 하니, 청와대와 야당이 정면으로 부딪칠 수밖에 없는 양상이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15일 대통령의 거취와 관련한 모든 방안은 법적 테두리 내에서 논의돼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야당과 촛불집회 참석자 등이 요구하는 '2선 후퇴'나 '질서 있는 퇴진' '하야' 등은 헌법 정신에 위배된다며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힌 것이다.
청와대 참모들의 발언이긴 하지만, 분위기를 볼 때 박 대통령의 의중이 담겨 있을 것이다. 박 대통령의 성격이나 소신에 미뤄 순순히 물러서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기에 그리 놀랄 일은 아니다. 걱정스러운 것은 대통령이 국민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계속 버티다가 정국 혼란이 더 커지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19'26일 대규모 촛불집회가 예고돼 있는 상황에서 자칫 불상사라도 생기면 정말 큰일이다.
더민주는 당론을 '박 대통령의 즉각 퇴진'으로 급하게 변경하면서 사실상 대화'타협의 여지를 없앴다. 박 대통령과 추 대표의 회담을 막기 위한 의도였지만, 스스로 족쇄를 걸었다는 점에서 심히 우려스럽다. 제1야당이 정치를 포기하고 거리로 나간다면 책임정당의 모습이라고 보기 어렵다. 더민주의 대주주인 문재인 전 대표까지 '전국적인 퇴진운동에 나서겠다'고 선언해 혼란을 부채질하는 모양새다.
박 대통령은 이른 시간 안에 자신의 거취 문제에 결단을 내려야 한다.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버티기로 해결할 사안이 아니다. 야당과 문 전 대표도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을 위해 대화와 협상의 문을 열어 놓아야 한다. 강경책만 최선의 방도는 아닐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