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건강칼럼] 재채기 나고 오한 오면 무·생강차…기침 잦을 땐 더덕 달여서 마시면 좋아

날씨가 쌀쌀해지고 아침저녁 일교차가 커지면 인체 면역력도 함께 떨어진다. 이 시기 가장 흔하고,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호흡기 질환이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감기며, 노인의 경우 생명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한의학에서는 감기를 상한(傷寒)이라 하여 차가운 것으로 신체를 다치게 된다는 뜻이다. 서양에서도 'cold'라고 부르는 것을 보면 동서양 어디든 감기의 근원이 '차가움'에 있다는 것엔 입장 차가 없는 듯하다.

한의학에서 감기는 대개 기후변화에 의한 육음(풍한서습조화)의 침입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기혈의 순환이 조화를 잃어 폐(肺), 비(脾), 신(腎)의 정기(면역력) 부족과 결합하여 발현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정기(면역력)가 충실하면 사기(邪氣-바이러스, 병을 유발하는 인자)가 침범하더라도 쉽게 이를 무마하여 정상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정기가 허약할 때는 쉽게 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 많은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들은 알레르기 비염이 없는데도 감기 뒤끝에 코가 뒤로 넘어가거나, 아침에 가래가 끼고, 찬 공기에 민감해져서 아침에 일어날 때나 새벽녘에, 맑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이 나타난다.

한의학적 치료는 크게 약물요법과 침구요법이 있으며, 약물요법을 주로 하고 있다. 호흡기에만 국한시켜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부족한 신체 장기의 원기를 북돋워 근본적으로 질환에 대한 저항력, 면역력을 키워주는 데 주력한다.

급'만성 증상도 병증에 맞는 치료 처방을 활용한다. 혈액의 흐름, 호흡량, 체온 조절 등으로 인체 내부 환경 변화를 일으켜 바이러스나 세균이 살 수 없는 조건으로 변화시켜 치료를 유도한다. 침구요법은 전통적인 방법인 경락을 직접 자극하는 방법과, 환자의 체질에 따라 사용하는 체질침을 이용한다. 침은 특히 약물요법과 병행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참고로 가정에서 쉽게 만들어 겨울철 호흡기 질환을 다스릴 수 있는 건강차를 소개한다.

▷사삼맥문동차: 더덕(사삼)은 인삼을 대신할 만큼 약효가 좋은 보혈제다. 사삼, 맥문동, 생감초 등을 물에 달여 마시는데 특히 만성 기관지염으로 인해 기침이 잦고 입이 마르는 데 효과적이다.

▷진피차: 말린 감귤 껍질을 진피라 하는데 과육보다 많은 양의 비타민C가 들어 있어 피로회복'감기예방'식욕증진'미용효과가 있다. 잘 말린 감귤껍질을 찻주전자에 담고 5컵의 물을 부어 은근한 불에서 끓이다가 물이 4컵 정도로 줄면 찻잔에 따라 꿀을 넣어 마신다.

▷모과차: 모과는 가래, 기침만 내리는 게 아니고, 가슴에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게 한다.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추위로 뼛속까지 쑤시는 근골통 또는 온몸의 뼈 마디마디가 다 쑤시는 류머티즘 타입의 감기를 치료하는 데도 좋다.

▷무와 생강즙: 재채기가 나고 오한이 들면 무를 강판에 갈아서 소주 2잔 정도의 양에 생강도 약간 갈아서 섞는다. 뜨거운 물을 부어 식기 전에 마시고 따뜻하게 잠자리에 들면 발한과 이뇨작용이 촉진되어 다음날 거뜬해진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