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부족이 남성 당뇨병 환자의 당뇨망막증을 유발하는 위험 요소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동현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안과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40세 이상 당뇨병 환자 1천670명(남성 845명·여성 825명)의 수면시간과 당뇨망막증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당뇨망막증은 당뇨병의 합병증 중 하나로 눈의 뒤에 있는 '망막'이라는 조직이 망가져 결국 실명에 이르는 질환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하루 평균 5시간 이하 잠을 자는 남성은 6∼8시간 자는 남성에 비해 당뇨망막증에 걸릴 확률이 1.8배 이상 높았다.
특히 당뇨망막증이 많이 진행돼 실명 위험이 큰 상태를 뜻하는 '실명 위험 당뇨망막증'도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경우 위험률이 1.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수면 중에 분비되는 '멜라토닌'이라는 물질이 당뇨병에서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고 당뇨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동현 교수는 "적정한 수면시간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인 당뇨망막증의 발병 위험을 낮추고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수면의 당뇨망막증 예방 효과는 남성 환자에게서만 의미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여성 환자는 그 효과가 미미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 안과학회지'(Acta Ophthalmologica)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