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에서 대구경북(TK) 새누리당 의원들의 소신 행보가 보이지 않는다.
당내에서의 활발한 탄핵 논의에 TK 의원들은 발을 슬그머니 뺀 채 눈치만 보는 형국이다.
지난 총선 때 소위 '진박'으로 불렸던 의원들조차도 탄핵 소추안에 대해 찬성'반대 입장 표명을 유보하고 있고, 중립'비박계로 분류된 의원들도 머뭇거리기만 하는 모습이다.
23일 매일신문이 '탄핵 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됐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찬'반 의사를 밝힌 의원은 조사에 응한 19명 의원 중 7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12명의 의원은 "지금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며 답변을 유보했다.
이들은 "검찰 조사'특별검사 진행 및 결과를 지켜본 뒤 결정하겠다" "소추안 내용을 살피고 나서 판단하겠다" 등의 이유를 들었으나, 이에 대한 정치권의 해석은 다르다.
새누리당 한 관계자는 "박근혜 대통령과 당의 지지 기반인 TK에서조차 상당수 의원이 똑 부러진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머뭇거리는 것은 소신 없는 행보다"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정치적 출발은 친박에 있으나, 앞으로 자신의 정치 행보를 생각했을 때를 두루 고려해 섣불리 판단을 내리기보다는 사태 추이를 좀 더 관망하려는 태도로 보인다"고 했다.
친박이든, 비박이든 이번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를 둘러싸고 불거진 당 내홍에서 TK 의원들의 선택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예선(공천)보다 본선(총선)이 당락을 좌우하는 수도권 의원들은 당내 노선보다는 자질'정책 등으로 유권자의 선택을 받지만, TK 의원들은 '공천=당선'이라는 공식(?)을 거스르기 어려워 공천권을 쥔 주류 세력에 기대야 하는 정치 환경 탓이 크다. 이 때문에 TK 의원들은 친박과 비주류 간 탄핵 공방 속에서의 선택은 물론 탈당'분당 등에서도 수도권 의원에 비해 운신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다.
A의원은 "대통령 퇴진을 주장하는 촛불민심과 대통령을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이 공존하는 게 지역 여론이다"면서 "지금 상황에서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것은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다"고 했다. B의원은 "대통령 탄핵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의하나 찬'반 선택은 소신과는 또 다른 문제"라고 했다. C의원은 "TK 의원이 새누리당 둥지를 빠져나오면(탈당) 지지자의 절반 이상을 잃게 되고, 그러면 그 지역에서 다음 선거를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면서 "탄핵이든 탈당이든 주류에 반대하는 의견을 내고 행동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