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와 우리나라 대통령은 여러모로 닮았다. 프랑스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다. 우리나라도 5년이다. 임기만 같은 게 아니다. 선거도 같은 해에 치러진다. 지난 선거는 2012년이었다. 프랑스에선 올랑드 대통령이, 우리나라에선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됐다. 내년에 다음 선거를 치르는 점도 똑같다. 프랑스에선 연임이 가능하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두 사람 모두 독신이라는 점도 닮았다. 올랑드 대통령은 한때 동거녀가 있었지만 지금은 헤어졌다. 이후 올랑드는 줄곧 독신을 고집했다. 박 대통령이 독신의 길을 걸으며 청와대에 홀로 있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그뿐만 아니다. 두 사람은 정치 생명도 함께하게 생겼다. 올랑드는 내년 대통령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고, 박 대통령은 임기 단축을 국회에 맡겼다. 연임이 가능한 프랑스에서 올랑드는 현직 대통령이 재선을 위해 출마하지 않은 유일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이리되면 올랑드의 정치 역정은 내년 5월 마무리된다. 박 대통령 역시 새누리당에서 내년 4월 퇴진을 당론으로 정해 두고 있어 별반 다르지 않다.
국민의 낮은 지지가 두 사람을 조기 강판시키는 이유인 것도 판박이다. 공교롭게도 두 사람 모두 지지율이 4%대를 기록하고 있다. 올랑드는 집권 기간 내내 경기 부진과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10%에 이르는 높은 실업률에 고전했다. 한 야당 의원은 국가 기밀 누설과 국가 안보를 위태롭게 한 책임을 물어 대통령 탄핵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올랑드는 이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인기 없는 대통령이란 불명예스러운 타이틀을 거머쥐고 있다. 박 대통령 역시 19대 국회 때는 국회 선진화법에 발이 묶여 허송세월만 보냈고, 20대 국회에선 여소야대가 돼 야당 동의 없이 아무 일도 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대통령은 야당은커녕 여당도 설득하지 못했다. 소위 친박 비박 짤박 진박 등 '박타령'만 난무한 세월을 보내다 최순실 사태에 직면했다. 결과는 역시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인기 없는 대통령이란 타이틀이다. 박 대통령 역시 이제 야 3당이 추진 중인 탄핵안과 마주하고 있다.
그래도 다 같지는 않다. 다른 점을 하나 들자면 프랑스에선 좌파 대통령의 실정으로 우파 정권이 들어서게 생겼다. 우리나라에선 반대다. 우파 대통령의 실패로 좌파 정권이 유력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