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11일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등을 기소하며 '최순실 국정 농단 의혹' 수사를 마무리했다. 힘이 빠진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서는 직권남용 등 8가지 범죄의 공범으로 판단하는 등 고삐를 단단히 죄었지만 같은 검사 출신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김기춘 전 비서실장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서는 한걸음도 내딛지 않았다.
검찰은 애초 이번 사건 수사에 소극적이었다. 박 대통령이나 우 전 수석의 서슬이 퍼렇게 살아 있을 때 더욱 그랬다. 각종 의혹이 불거지자 사건을 형사 8부에 배당하며 미적거렸다. 그러다 박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에 나서며 약해지는 모습을 보이자 득달처럼 달려들었다. 뒤늦게 검사 44명 등 총 185명 규모의 특별수사본부를 꾸려 조사했다. 정권과 여론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다 판세가 기울자 대통령을 조준해 수사를 벌였다. 하지만 같은 식구였던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는 여전히 겉돌았다.
우 전 수석을 둘러싼 의혹은 적지 않다. 최 씨와 그 주변 인물들의 국정 농단을 묵인했다는 의혹이 핵심이다. 우 전 수석의 묵인 내지는 방조가 없었다면 사태가 이 지경까지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란 주장에 무게가 실린다. 그 자신 청와대 민정수석실 입성 경위부터가 의문이다. 그의 청와대 입성 전 우 전 수석의 장모와 최 씨가 골프 회동을 가졌던 사실부터가 규명해야 할 숙제다. 그가 민정수석으로 버티던 때 롯데그룹에 대한 압수 수색 정보는 유출됐다. 검찰에 소환된 그의 앞에 공손히 손을 모은 검사와 팔짱을 낀 채 미소를 짓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힌 것은 코미디에 가깝다. 검찰이 아닌 '겁찰'(겁먹은 검찰)이란 비아냥거림이 나올 정도였다.
공은 이제 특검으로 넘어왔다. 특검은 우 전 수석을 둘러싼 의혹을 샅샅이 밝혀야 한다. 이번 국정 농단 의혹의 또 다른 한 축이었다는 의문부터 해소해야 한다. 그에 대한 특수본의 미온적 수사가 제 식구 감싸기였는지, 아니면 그가 가진 정보가 두려워서였는지 그의 혐의를 밝혀내 의문을 해소해야 한다. 그래야 특검은 '거동할 수 없는 사자에게 떼로 달려드는 하이에나'라는 소리를 듣는 검찰을 넘어 국민의 신뢰를 얻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