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수난을 당하고 있다.
박 전 대통령 고향인 구미에서 생가 추모관이 방화로 불탔는가 하면 그의 동상과 기념 시비도 붉은색 스프레이로 훼손당한 것. 전국적으로도 박정희 흉상 철거 논란이 끊이지 않아 구미를 비롯한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박정희 기념물 관리 방안에 대한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 1일 오후 3시 15분쯤 백모(48) 씨가 구미 상모동 박정희 생가 추모관에 불을 질러 박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 영정 등 추모관이 전소됐다. 이날 수원에서 기차를 타고 구미로 온 백 씨는 관리사무소에 들러 방명록에 "박근혜는 자결하라. 아버지 얼굴에 ×칠하지 말고"라는 글을 남긴 후 추모관으로 들어가 방화를 했으며 경찰에 체포돼 구속됐다.
이에 앞서 지난달 4일 오전 3시 17분쯤 대학생 류모(19) 씨가 구미 상모동 박 전 대통령 생가 인근 공원에 세워진 박 전 대통령 동상 왼쪽 다리 쪽과 시 기념비, 국민교육헌장비 등 3곳에 붉은색 스프레이로 '독재자'라는 글씨를 쓴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에서는 영등포구 문래근린공원에 있던 박 전 대통령 흉상(1966년 제작)을 붉은색 스프레이로 훼손하고 망치로 수차례 내려친 혐의로 최모(32) 씨가 경찰에 입건됐다. 최 씨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박정희 흉상 철거 선언문'을 남기기도 했다.
전북 김제시에서도 50년 전 박 전 대통령이 다녀간 흥사동 '호남 야산개발 기공 기념비'와 월봉동 '월촌 양수장 통수 기념비' 등 2곳의 기념비에 대해 시민단체들이 철거를 주장, 시 관계자들이 곤욕을 치르고 있다.
김제시 관계자는 "박 전 대통령의 역할로 김제시가 식량과 식수를 해결할 수 있었다. 예우 차원에서 기념비를 세웠던 것인데 시국이 이렇다 보니 기념비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난감하기만 하다"고 했다.
구미시민 A(67) 씨는 "박근혜 대통령이 큰 잘못을 했다는 것은 인정한다. 그렇지만 아버지 어머니가 무슨 잘못을 했나. 보릿고개를 넘고 세계 10위 경제대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있었기 때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미시 김중권 부시장은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는 금오산만큼 관광객이 많이 찾는 구미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여서 신속한 복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경찰과 협조, 경비와 순찰을 더욱 강화하고 폐쇄회로(CC) TV 설비를 보강할 계획"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조국혁신당 '창립멤버' 은우근 탈당…"성 비위 피해자에 공격 멈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