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발화 문제의 원인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결론지었다. 일각에서 제기됐던 본체의 구조 설계상 문제나 소프트웨어 오류는 아니라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23일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갤럭시노트7 기자간담회'를 열고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대로 진행한 대규모 충방전 시험에서 이같은 소손 현상을 재현했다"면서 "갤노트7에 들어간 2개의 다른 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발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으며, 해외 전문기관들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A 배터리는 배터리 우측 코너의 눌림 현상이, B 배터리는 비정상 융착돌기가 절연테이트와 분리막 파손, 내부 단락을 유발한 것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는데 이같은 결과는 미국 안전인증 회사인 UL과 엑스포넌트(Exponent)의 조사 결과와도 같은 것이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배터리 설계와 제조 공정상의 문제점을 제품 출시 전에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조만간 갤럭시8 출시를 앞두고 있는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단종 같은 치명적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스마트폰 안전성을 크게 높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고 사장은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 (스마트폰의) 개발,제조,검증 등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종합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했다"면서 "안전·내구성 검사, 외관 검사, X레이 검사, 해체 검사, 누액 감지(TVOC) 검사 ,상온의 전압 변화(ΔOCV) 측정 검사, 충·방전 검사, 제품 출고 전 소비자의 사용 환경을 가정한 가속 시험 등 8가지 배터리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삼성전자는 핵심 부품의 설계, 검증, 공정 관리를 전담하는 '부품 전문팀'을 구성하고 외부 전문가 영입을 확대했으며. 제품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문단도 꾸렸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