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경선 전까진 개인 '총알'로 버텨야 한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범여권의 유력 대선 후보로 꼽혔지만, 그의 대선 행보는 귀국 후 한 달을 채 넘기지 못한 채 멈췄다.
불출마 선언에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그중 하나로 막대한 정치자금이 거론됐다. 귀국 후 그는 20일 동안 하루 1천만원, 최소 2억원의 개인 비용을 쓴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 마포의 한 주상복합빌딩에 집무실과 캠프 사무실 두 곳을 임차하는 데 보증금과 월세로 3천400만원가량이 들었고, 승용차 2대 구입비로 7천만원, 여기에 운전기사와 수행비서 월급, 캠프 사무실 운영비와 기타 부대 비용 등을 합해 20일간 든 총비용은 최소 2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그는 김해의 한 치킨집에서 "평생 직장인으로 살았는데, 이제는 모두 사비를 써야 해 금전적으로 힘들다"며 기자들에게 정치자금의 부담을 털어놓기도 했다.
반 전 총장 뿐만 아니라 대권 도전에 나선 주자들이라면 '돈줄 고민'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정당에 소속돼 있건 그렇지 않건 간에 대선에 도전장을 내민 이상 당의 후보가 되기 위한 경선 전까지는 개인 돈을 써야 한다. 두둑한 '총알'이 준비돼 있지 않다면 버틸 수 없다는 말이다.
대선은 그야말로 '쩐의 전쟁'이다.
사무실을 얻고 사람도 끌어모으려면 많은 자금이 필요한데, 이번 대선은 일정도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실상 레이스가 시작돼 대선 주자들의 부담이 더 커졌다.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드는 돈은 국가가 지원하지만, 그전에는 각자 개인 지갑에서 써야 한다.
그나마 현역 국회의원들은 후원회를 통해 돈을 모금할 수 있지만, 의원 신분이 아니면 후원금을 모을 수도 없다. 대신 대선 예비후보로 등록하면 이때부터 후원회를 만들어 후원금을 걷을 수 있다. 대선 240일, 8달 전부터 등록을 할 수 있으나 올해 같은 경우 탄핵심판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언제 대선이 치러질지 알 수 없어 현재 선관위가 등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출마를 선언하고 대권 행보에 나선 유승민 바른정당 국회의원은 여의도에 차린 캠프 임차 비용만 월 260만원가량을 쓰고 있다. 비교적 싼 것으로 여의도에선 99㎡(30평)기준 2, 3개월 단기간 사무실을 임차하려면 2천만~3천만원의 보증금에 월 500만원 정도 든다.
6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 원유철 새누리당 의원의 한 캠프 관계자는 "대선 출정식을 간소하게 했으나 500만원 정도 소요됐다. 여기에 사무실 임차료, 소모품 구입, 음료 및 간식 구입, 주유'주차비 등 각종 잡비 명목으로, 또 선거운동원을 고용했을 땐 인건비도 추가된다"며 "요즘엔 문자 한 번 보내는 데만도 몇 백만원이 든다"고 했다.
후보가 경선에 참여하기 위해선 '입장료'도 내야 한다. 각 정당에 내야 할 기탁금으로 새누리당 경우 지난 18대 경선에서 2억5천만원, 더불어민주당은 1억원이었다. 결과에 따라 추가 비용이 들지만, 당내 경선에 사용되는 돈이기 때문에 선거법에 의해 돌려받을 수도 없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원내외 후보자가 당내 경선 후보자로 등록하면 대통령 경선 후보자 후원회를 설치해 후원금(선거비용 제한액의 100분의 5로 25억원 정도로 추정)을 모금해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