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국무 "북한 선 넘으면 군사행동 불사"…틸러슨 취임후 첫 방한

"전략적 인내 정책은 이제 끝, 외교·안보·경제적 조치 취할 것"

렉스 틸러슨(오른쪽 세 번째) 미국 국무장관이 17일 판문점을 방문, 빈센트 브룩스(오른쪽 두 번째) 한미연합사령관, 임호영(오른쪽 네 번째) 한미연합사부사령관 등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그 뒤편으로 보이는 북한군 병사 네 명의 각기 다른 모습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왼쪽편에 있는 두 명의 북한군은 이들의 행동을 감시하려고 사진 촬영과 날카로운 눈매로 주변을 경계하고 있다. 또 틸러슨 미 국무장관 뒤로는 북한군이 도보로 이동하고 있다.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렉스 틸러슨(오른쪽 세 번째) 미국 국무장관이 17일 판문점을 방문, 빈센트 브룩스(오른쪽 두 번째) 한미연합사령관, 임호영(오른쪽 네 번째) 한미연합사부사령관 등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그 뒤편으로 보이는 북한군 병사 네 명의 각기 다른 모습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왼쪽편에 있는 두 명의 북한군은 이들의 행동을 감시하려고 사진 촬영과 날카로운 눈매로 주변을 경계하고 있다. 또 틸러슨 미 국무장관 뒤로는 북한군이 도보로 이동하고 있다.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비핵화 결단 때까지 북한과의 대화는 없다. 제재 수위를 더 높일 것이며 북한이 선을 넘을 경우 대북 군사행동도 불사한다.'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 미국의 '외교사령탑'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17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 공동 기자회견에서 초강경 대북 메시지를 던졌다.

틸러슨 장관은 오바마 전 행정부의 대북정책으로 불리는 '전략적 인내'의 종결을 공식 천명했다.

오바마 전 행정부 초'중반기에 전개한 대북 전략적 인내는 북한이 비핵화를 결단할 때까지 저강도 제재와 대화 거부 기조를 이어가는 정책을 말한다. 결국 트럼프 행정부는 이런 수동적인 접근을 하지 않겠다는 선언을 한 셈이다. 그러면서 틸러슨은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하는 포괄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외교적, 안보적, 경제적 모든 형태의 조치를 모색하고 모든 옵션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현재 취해지는 유엔 안보리 제재가 최고 수준이 아니라고 지적하며, 북한의 추가 도발 시 더 강도 높은 양자 및 다자 차원의 대북 제재를 가할 것임을 강력히 시사했다.

거기에 더해 "군사적인 갈등까지 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전제했지만 "우리가 어떤 행동을 취해야 된다고 하는 그 수준까지 (북한이) 간다면 행동을 취할 것"이라며 대북 군사적 옵션을 배제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을 제시했다.

특히 북핵을 "미국의 위협"이라고 규정한 뒤 "지금은 북한과 대화를 할 시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북한이 요구하는 한미 군사훈련 중단도 거부했다.

틸러슨 장관은 "(핵)동결 이야기를 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북한의 핵실험 중단과 핵시설 가동 중단 등에 대해 모종의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는 협상을 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