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인양을 진행하고 있는 중국의 상하이샐비지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대형 침몰선 '통째 인양' 방식을 주도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놀랍다'는 반응이 많다. 국내 기업이 인양을 주도하지 못한 데에 대한 아쉬움도 섞인 반응이다.
세월호 인양은 처음부터 국제 입찰 방식으로 진행됐다. 당시 입찰에서 미국 타이탄(Titan), 네덜란드 스미트(SMIT) 등 7개 컨소시엄이 참여했고, 당시 심사 2위를 했던 상하이샐비지가 최종 인양업체로 선정됐다. 1위를 했던 네덜란드 스미트(SMIT)가 입찰 보증금 기준을 맞추지 못해 2위인 상하이샐비지에게로 자격이 돌아간 것이다.
상하이샐비지는 중국 교통운수부 산하 국영기업으로 연매출 3천억원, 잠수사 등 구난 분야 전문인력을 1천400명가량 보유한 대형 해양 구난업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국내 인양업체들은 업체 규모가 작고 작은 어선 등을 인양한 경험은 있어도 세월호와 같은 대형 여객선을, 그것도 유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째 인양할 수 있는 기술력과 경험은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세계적으로 인양 경험이 많고 실패 시 보증 책임까지 질 수 있는 대형 해외 기업들의 참여가 필요했다"며 국제 입찰의 배경을 설명했다.
상하이샐비지는 당시 기술력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지금과 같은 '잭킹바지선+반잠수식 선박'을 통한 인양 방식을 제시한 것은 아니었다. 상하이샐비지는 애초 잭킹바지선이 아닌 크레인을 이용해 선체를 끌어올리고 수면 위로 올라온 선체를 플로팅 도크에 실어 목포신항으로 이동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그런데도 인양업체로 선정됐던 결정적 배경은 선체를 끌어올리는 수단 등의 문제가 아니라 세월호를 떠받쳐주는 '리프팅 빔'을 설치해 세월호를 손상 없이 그대로 통째 인양하는 방식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기술 점수를 높게 받았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이런 방식은 국내 업체들이 제안할 수도, 진행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상하이샐비지는 우리 정부로부터 총 916억원의 인양 비용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인양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해상 크레인'을 '잭킹바지선'으로, '플로팅 도크'를 '반잠수식 선박'으로 각각 바꾸고 그 사이 검토 기간도 길어지면서 계약금액 이상을 지출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마디로 적자를 감수하고 인양에 참여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상하이샐비지가 사상 유례없는 선체 통째 인양에 성공할 경우에는 적자 규모를 뛰어넘는 유명세를 누리면서 몸값이 크게 올라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