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경제 위기 해법 1순위로 떠올랐던 '구미 KTX 접근성 개선' 문제가 물 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구미를 방문해 '구미 KTX 접근성 개선' 건의에 대해 긍정적 검토 지시를 내렸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된 데다 지역에선 접근성 방안을 놓고 의견 일치조차 안 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구미경실련이 예산이 적게 들고 실행 시기가 가장 빠른 'KTX 간이역 건립' 방안을 주장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구미의 KTX 접근성 개선 문제는 지난해 박 전 대통령의 긍정 검토 지시가 있은 후 탄력을 받는 듯했으나 곧장 탄핵 정국으로 이어지면서 '잘 되겠느냐'는 비관론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구미시는 2단계 대구권 광역전철 KTX 김천구미역 연결 방안을, 백승주 국회의원(구미갑)은 KTX 구미역 정차 등 서로 다른 방안을 추진해 지역 협치 실종이란 비판까지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구미경실련은 30일 '시장과 국회의원의 불통으로 도출 못 한 구미공단 KTX 접근성 개선 단일안' 성명서를 통해 칠곡 북삼읍 일대에 'KTX 간이역' 설치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실련 측은 "구미시와 국회의원이 서로 주장하는 방안은 '하나가 되면 다른 하나를 불필요'하게 만들어 예산 낭비 를 초래한다"며 "게다가 두 방안 모두 지난해 6월 확정된 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 변경 연도인 2021년에 반영돼야 추진할 수 있다 보니 개통은 7, 8년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경실련 측은 또 "간이역 건립은 예산 800억원 정도면 가능해 예산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기존 KTX 김천구미역 이용객의 이탈도 적어 김천시의 반발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