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31일 새벽 구속영장이 발부되면서 강남구 삼성동 자택은 다시 주인을 잃었다.
박 전 대통령이 구속 적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러 전날 집을 비웠으니 이달 12일 청와대를 떠나 집으로 돌아온 지 18일 만이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일인 이달 10일부터 지지자들은 박 전 대통령의 집 앞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지켜왔다. 이날 새벽 삼성동 자택 앞에 모여있던 지지자 5명은 넋이 나간듯한 표정을 지었다.
박 전 대통령의 구속 소식을 접한 근혜동산 김주복 회장은 오전 3시 45분께 삭발을 했다. 한 여성 지지자는 팔짱을 낀 채 한숨을 연신 내쉬며 박 전 대통령의 집을 하염없이 바라봤다.
서울중앙지검 서문 인근에는 지지자 10여명이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며 법원과 검찰을 향해 "벼락 맞아 죽을 놈들", "계엄령 선포되면 다 죽는다",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고 소리치며 울분을 토했다.
박 전 대통령에게 삼성동 자택은 정치적 의미가 남다른 곳이다.
이곳에서 지내는 동안 1998년 대구 달성 보궐선거에서 처음 국회의원에 당선돼 내리 5선을 했으며 정치권력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대통령의 자리에 올랐기 때문이다.
1979년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잃고 청와대를 나온 박 전 대통령은 중구 신당동, 성북구 성북동, 중구 장충동 등 서울 강북의 거처에 살다 1990년 강남구 삼성동에 둥지를 틀었다.
정치무대에 오르기 전까지 박 전 대통령을 칩거생활을 해왔기 때문에 삼성동 자택은 늘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1993년 수필집 '평범한 가정에 태어났더라면'을 발간하고 나서 박 전 대통령은 언론 인터뷰에서 "(삼성동 자택에서) 집안일을 도와주는 사람들과 함께 살고 있다"고 밝혔을 뿐이다.
'도와주는 사람'이 누구였는지 알 수 없지만, 각종 공과금은 박 전 대통령이 아닌 다른 사람이 관리해온 것으로 보인다.
삼성동 자택의 유선전화는 박 전 대통령을 1998년 국회 입성 때부터 그림자처럼 수행해오던 안봉근 전 청와대 국정홍보 비서관 명의로 개설돼 있다. 박 전 대통령의 집으로 안 전 비서관의 이름이 찍힌 요금명세서가 배달된 게 언론에 포착됐다.
박 전 대통령의 삼성동 자택은 2002년 한나라당 부총재 시절 출입기자들을 초청하며 처음으로 외부에 공개됐다. 이후 2004년 당 대표 시절에도 몇 차례 기자들을 집으로 불러 식사를 했다.
2013년 2월 25일 박 전 대통령이 청와대로 33년 3개월 만에 복귀하고 나서 삼성동 자택은 4년 넘게 비어 있었다.
오랜 기간 사람 손이 닿지 않았던 만큼 삼성동 자택 내부를 보수하는 데 꼬박 사흘 넘는 시간이 걸렸지만 정작 주인은 언제 돌아올지 모를 길을 또다시 떠나고 말았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