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대선 후보 등록이 마무리되면서 오늘 자정부터 선거일 하루 전인 다음 달 8일까지 22일간의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됐다. 이 기간 중 각 후보는 국민에게 자신을 샅샅이 공개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예비 선거운동에서는 전혀 그렇지 못했다. 아직 어떤 후보도 국민에게 자신의 정책과 비전을 알리는 기본 자료인 공약집조차 내놓지 않았다는 사실은 단적인 예다. 대통령 탄핵으로 준비 기간이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해도 이는 유권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22일간의 공식 선거운동은 이런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또다시 '대통령 잘못 뽑았다'는 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과연 22일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그럴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그래서 중론은 '후보에 대한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토론이 최선이라는 데로 모이고 있다.
그러나 이것도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의 토론이 '수박 겉핥기'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난주 한국기자협회와 SBS 주최로 열린 원내 5당 후보의 첫 TV 토론도 마찬가지였다. 각 후보는 북핵 위기, 증세, 교육, 복지 등 주요 현안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지만, 국민이 후보들을 속속들이 알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총 150분 중 이런저런 시간을 제외하면 각 후보가 자신을 보여준 시간은 1인당 20분에 그쳤다. 그래서 토론 방식을 미국처럼 '원고 없는 스탠딩 자유토론'으로 바꾸고, 안보, 경제, 복지 등 주요 현안 3, 4개를 놓고 순차적으로 후보 간 일대일 '끝장 토론'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직선거법에 따라 앞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TV 토론회가 4차례 더 예정돼 있다. 3차례는 5당 후보 간, 1차례는 군소후보 간 토론이다. 없는 것보다야 낫겠지만, 기존의 토론 방식대로라면 기대할 것이 없을 것이란 우려는 여전하다.
그런 점에서 오는 19일 KBS 토론회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입장 선회에 따라 '원고 없는 스탠딩 자유토론'으로 방식이 바뀐 것은 다행이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후보 간 일대일 끝장 토론도 꼭 필요하다. 그래야 후보의 능력과 자질에 대한 혹독한 검증이 가능해진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