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당선되면서 국내 체육계에도 변화의 바람이 예고된다.
예전 주요 선거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대선에서도 각 후보 진영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환경 쪽 공약을 우선하느라 체육 관련 공약을 뒤로 미루거나 분량이 '몇 줄' 정도로만 서술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조기 대선'이 성사된 실마리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비선 실세'로 불린 최순실 씨의 딸 정유라 씨가 관련된 체육특기자 입시 부정이었다는 점에서 체육계에서는 이번 대통령 선거를 남다른 시선을 지켜봤다.
특히 2013년 4월 경북 상주에서 열린 승마대회에서 정 씨가 우승하지 못하자 이례적으로 경찰서에서 해당 대회 심판들을 조사하고, 청와대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에 승마협회 감사까지 지시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이후 승마협회 감사를 '뜻대로' 하지 않은 문체부 담당자가 한직으로 밀려나고, 최 씨와 조카 장시호 씨 등이 K스포츠재단과 동계스포츠 영재센터 등을 통해 평창 동계올림픽과 관련된 이권에 개입하려 한 흔적이 포착되면서 이전 정부의 '체육 정책'은 '대참사' 수준으로 귀결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런 이유 등으로 인해 이번 조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체육인들은 문재인 후보에 대한 지지를 잇달아 선언했고 이번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가 각별할 수밖에 없다.
문재인 당선인은 우선 '공정한 스포츠 생태계 조성'과 '체육 단체 자율성 보장'을 체육 관련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는 정부의 과도한 개입을 줄이고 체육계 스스로 공정한 생태계를 유지 및 관리하도록 유도하겠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또 체육특기자 입시 전형도 개선해 '공부하는 선수'를 양성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에 따라 대학스포츠 총장협의회가 올해부터 적용한 '직전 2개 학기 평균 학점 C 미만 선수들의 경기 출전 금지'와 같은 조항들은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연세대와 고려대에서는 이미 지난달 '2021학년도부터 체육특기자 선발 때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이런 방침은 다른 학교들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 밖에 문재인 당선인 측에서는 생활체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지역 단위 공공스포츠클럽 도입과 생활체육시설의 주민 개방 등을 약속하는 등 유아와 노인, 청소년, 장애인 등 유형별 맞춤형 스포츠도 확대할 방침이다.
새 정부의 체육 정책과 관련해서는 4선 의원인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 체육인 지지 선언 등을 준비한 조현재 전 문체부 차관 등이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