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텅 빈 靑 컴퓨터 두고 전·현 정부간 충돌

국정 운영에 필요한 자료 못받아…靑 "하드웨어 거의 비어있다"

문재인정부가 전임 정부로부터 국정 운영에 필요한 자료를 제대로 넘겨받지 못했다고 밝힘에 따라 전'현 정부 간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는 모습이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으로 불명예 퇴진했을 당시 대통령기록물 지정과 이관을 놓고 부딪혔던데 이은 것으로, 청와대가 전 정부의 과실을 지적한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청와대는 17일 박근혜정부의 자료 인계 문제를 두고 "(청와대) 컴퓨터를 확인한 결과 하드웨어상에는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전날에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임 정부에서 넘겨받은 자료가 부실하다는 보도와 관련한 입장을 묻자 "하드웨어는 거의 비어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문제 제기가 '정윤회 문건 사태'를 재조사하겠다고 한 청와대의 의중과 관련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인수위도 없는 상태에서 원활한 인수인계가 안 되는 것도 문제지만, 국정 운영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조차 남기지 않았다면 전임 정부의 책임론이 불거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윤회 문건 사태'가 제대로 처리됐는지 알아보겠다고 한 데 더해 인수인계 자료마저 부실하다는 것은 현 정부가 전임 정부의 과실이 있는지를 들여다보는 데 상당한 명분이 될 가능성도 있다.

새 정부가 적폐 청산만을 담당하는 위원회를 꾸리겠다고 할 정도로 과거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겠다는 의지가 강한 만큼 실제로 전 정부의 과오가 드러난다면 이는 적폐 청산에 동력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민정수석실이 최근 국가정보원과 검찰, 경찰, 기무사 등에 '문서 파기 금지령'을 내린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