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환승센터 사업자 "여객 사업권 반납"

환승센터 건립 무산에 따라 포항터미널, 道에 내용증명

포항시외버스터미널의 일반복합환승센터 설립이 무산(본지 18일 자 10면 보도)되자 사업을 추진했던 ㈜포항터미널이 여객자동차터미널 사업권을 반납하고 자동차정류장 시설을 해제하기로 해 파문이 예상된다. 포항터미널은 사업허가권자인 경북도와 포항시에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내용증명을 22일 발송했다.

포항터미널은 "KTX 개통 영향과 향후 동해중부선 완공 등으로 30% 이상의 고객 이탈이 예상돼 운영 적자 확대가 확실시된다"며 "터미널 건물이 D등급 위험시설로 평가돼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에 면허증을 반납하고 7월 31일부터 영업 및 건물 폐쇄 절차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경북도에 면허를 반납하는 동시에 포항시에 자동차정류장 시설 해제를 요청해 토지매각 절차를 착수할 것이며, 포항시와 경북도에 7월 31일까지 시민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터미널사업자를 재선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포항시외버스터미널은 애초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곡리로 이전하는 것으로 도시교통계획이 수립됐으나 지난해 5월 사업자인 포항터미널이 경북도에 사업제안을 통해 상도동 현 위치에 복합환승센터를 건립하는 방향으로 급진전됐다.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전 예정지인 성곡리토지조합과 지주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고, 최근 경북도 공모평가에서 포항터미널이 기준 점수에 미달돼 무산되기에 이르렀다.

포항터미널 측은 "전체 사업비 3천400억원을 투자하고 자산운용 의향서를 제출한 재무적(전략적) 투자자인 맥쿼리자산운용 담당 전무가 평가일에 직접 설명하게 하는 등 포항시가 요구해 온 대기업 유치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면서 "지난해 4월 포항시의 추진 의사를 확인하고 성공적인 사업 진행을 위해 수십억원의 차입금을 투입해 기본계획 수립 및 투자자 유치 등에 노력했다. 그러나 이번 무산 결정으로 사실상 포항터미널 운영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사업권을 반납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포항시 관계자는 "아직 사업권 반납이 정식으로 접수된 것은 아니다. 공공성을 띠는 터미널의 특성상 반려도 가능하며 포항터미널이 주장하는 것처럼 운영상 적자는 아직 아닌 것으로 안다"면서 "대규모 투자에 따른 구체적인 운용방안이 미흡했기 때문에 경북도 평가에서 미달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