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발투수의 6이닝 3자책점 이하 투구를 퀄리티스타트(Quality Start)라 부른다. 선발투수가 얼마나 잘 던졌느냐를 따질 때 쓰는 지표 중 하나다. 삼성 라이온즈 투수 중에선 앤서니 레나도가 아직 퀄리티스타트 기록이 없어 아쉬움을 주고 있다. 레나도가 좀 더 분발해야 삼성의 선발 로테이션도 원활하게 돌아간다.
삼성의 주축 선발투수들은 윤성환, 우규민, 재크 페트릭과 레나도 등 4명. 나머지 한 자리는 임시 선발투수들이 메우고 있다. 좌완 백정현이 5선발 자리를 잘 메우다 허리 통증으로 이탈한 뒤부터는 잠수함 투수 김대우가 선방 중이다. 5선발은 일반적으로 가능성을 가진 투수를 시험하는 자리. 결국 1~4선발이 안정적이어야 긴 시즌을 버텨낼 수 있다.
삼성의 1~4선발 가운데 가장 안정적인 선발투수는 윤성환(5승 5패, 평균자책점 3.86). 14경기에 등판해 퀄리티스타트만 10차례 기록했다. 이 중 5번은 7이닝 이상을 소화했다. 선발투수의 덕목 중 하나가 이닝 소화 능력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의심할 여지가 없이 현재 삼성의 에이스는 윤성환이다.
페트릭도 괜찮은 활약을 펼치고 있다. 페트릭은 14경기에 등판, 퀄리티스타트를 8회 기록 중이다. 2승 9패를 기록하는 데 그치고 있지만 시즌 초반 타격 지원을 받지 못한 탓이 크다. 평균자책점은 4.91로 다소 높다. 크게 무너진 경기가 몇 차례 있었던 탓인데 최근 두 경기 연속 퀄리티스타트를 기록하는 등 다시 안정을 찾았다.
우규민(3승 4패, 평균자책점 4.82)의 투구 내용은 다소 아쉽다. 13경기 중 5회 퀄리티스타트(7이닝 이상 투구 3회)에 성공했으나 기복이 심한 상태다. 이 때문에 평균자책점도 크게 높아졌다. 호투를 이어가다 한순간에 무너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우규민보다 더 아픈 손가락은 에이스 역할을 해야 할 레나도. 6경기에 등판해 퀄리티스타트를 한 번도 기록하지 못했다. 2승을 거두긴 했지만 평균자책점(4.88)도 그다지 좋지 않았다. 제구가 불안해 투구 수를 조절하기 어려웠고, 그러다 보니 많은 이닝을 소화할 수 없었다. 가장 오래 마운드에서 버틴 게 5와 1/3이닝(5월 31일 롯데 자이언츠전)에 불과할 정도였다.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