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7일 성주 주한미군 사드 기지에 발사대 4기를 추가 반입하면서 사드 1개 포대를 완비하게 됨에 따라 '뜨거운 감자' 중 하나였던 사드 문제는 당분간 한'미 간에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전망이다. 그러나 사드를 둘러싼 한'중 관계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5월 말 불거진 국방부의 사드 발사대 4기 반입 경위 보고 누락 의혹, 7월 말 사드 기지 일반 환경영향평가 방침 발표 등으로 사드는 한'미 관계의 민감한 현안으로 부상했다.
한'중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던 우리 정부는 사드의 절차상 하자를 되짚는 방식으로 시간과 외교적 공간을 확보하려 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방위와 직결되는 주한미군 보호용 장비 배치를 망설이는 한국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 한'미 동맹의 신뢰에 균열을 낳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일단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연쇄 발사와 6차 핵실험 등으로 절박한 대북 억지력 확보 수요가 제기되면서 정부는 '임시배치'이기는 하지만 사실상 사드의 신속한 가동 쪽으로 다시 방향을 전환했다.
그러나 중국의 반발은 여전하다.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발사대 4기의 임시배치 임박 보도가 나오자 6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유관 행동에 엄중한 우려를 표명한다. 중국 측은 한'미가 중국 등 지역 국가의 안전 이익과 우려를 존중해 즉각 유관 배치 과정을 중단하고 유관 설비를 철수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