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 난민 신청을 한 사람이 3만 명을 넘어섰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21일 발표한 10월 통계월보에 따르면 1994년 이후 올해 10월 말까지 난민 신청자는 총 3만82명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는 1992년 유엔 난민지위협약에 가입한 데 이어 1994년 아시아 최초로 난민법을 제정해 난민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난민 신청자는 1994년부터 2010년까지 17년 동안 2천915명으로 한 해 평균 171명에 머물렀다가 2011년 1천11명으로 급증했다. 2014년에는 2천896명으로 늘어났고 2015년 5천711명을 거쳐 2016년 7천541명에 이르렀다.
올해는 10월까지 7천291명을 기록해 지난 한 해 숫자에 근접했으며 연말이면 1만 명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올 10월 한 달에만 842명이 난민지위를 신청했다.
3만82명의 신청자 중 1만8천449명에 대한 심사 결정이 종료됐으며, 이 가운데 767명이 난민 인정을 받았고 1천446명이 인도적 체류 허가를 받아 모두 2천213명이 보호를 받으며 국내 체류하고 있다.
난민 신청 사유는 '종교'가 7천720명(24.2%)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정치적 사유' 6천711명(22.3%), '특정 사회집단의 구성원' 3천307명(11.0%), '인종' 1천963명(6.5%), '국적' 76명(0.3%) 순이다.
철회 등을 빼고 계산한 우리나라의 난민 인정률은 3% 수준으로 전 세계의 난민 인정률 38%에 한참 못 미친다.
한편 10월 중국인 입국자는 9월보다 9.2% 늘어났으나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여전히 절반 수준(53%)에 그쳤다.
외국인 입국자는 119만89명으로 전달보다 8.6% 증가했으며 국민 출국자는 225만5천673명으로 전월 대비 0.1% 감소했다.
입국자의 국적은 중국, 일본, 미국, 대만, 홍콩, 태국, 필리핀, 베트남, 러시아, 말레이시아 순이다.
국내 체류 외국인은 213만5천49명으로 9월보다 5만4978명(2.6%) 늘어났다. 국적별로는 중국, 베트남, 미국, 태국,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러시아, 일본 순으로 많았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