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칼날이 친박계 핵심을 향함에 따라 앞으로 친박계가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에 정치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사기관은 물론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까지 당무감사 결과를 지렛대로 친박계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이고 있는데도 친박계가 이렇다 할 대응조차 못하고 있기 때문에 계파로서의 위상을 상실한 것 아니냐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검찰은 27일 박근혜 정부에서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김재원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을 소환해 지난 2016년 4'13 총선을 앞두고 국가정보원 자금(5억원)으로 일명 '진박(진실한 친박) 감별' 여론조사를 하는 데 김 의원이 간여한 것으로 보고 조사를 벌였다.
이어 검찰은 28일 오전 최경환 의원(전 경제부총리)을 소환해 국정원 자금 수수의혹에 대한 조사를 벌일 예정이었지만, 최 의원이 출석을 거부함에 따라 후속조치를 준비 중이다. 법조계에선 검찰이 다시 소환장을 발부하는 방식으로 명분을 쌓은 다음 법원에 체포영장 발부를 신청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치권에선 현 정부의 적폐 청산 방침에 따라 전 정권 실세들이 줄줄이 수사기관에 출두해 망신을 당하는 과정으로 봐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홍준표 대표마저 이번 주 당무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친박계 청산을 시도할 예정이어서 친박계가 더 이상 명맥을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당 관계자는 "역대 정권교체 후 반복돼 온 정치보복이 지금도 진행 중"이라며 "계파의 상징인 전직 대통령이 탄핵 후 구치소에서 재판을 받고 있고 좌장급 중진들이 잇따라 수사기관을 들락거리고 있는 상황이라 '친박계'라는 단어조차 꺼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