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무상급식 오지 경북' 10년 만에 벗었다

무상급식이 시행 10년 만에 전국에 뿌리내렸다. 구미'문경'상주가 초등학생 무상급식 레이스의 마지막 주자가 됐다. 내년부터 전국 초등학생들은 무상으로 급식을 먹게 된다. 무상급식 요구는 중'고생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무상급식 전면 실시 요구의 촉매제가 된 것은 국정감사였다.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초등학생 급식지원율이 대구 73.9%, 경북 75.6%에 불과하다"며 이유를 물었다.

이 자리에서 우동기 대구시교육감은 초등학생 전면 무상급식 계획을 밝혔지만 이영우 경북도교육감은 "초'중학교 전면 무상급식을 하려면 예산 500억원이 더 든다"며 다소 불분명한 모습을 보였다.

상대적 박탈감은 학부모들을 자극했고, 시민단체가 적극 나서게 됐다. 경북지역 119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경북친환경무상급식추진운동본부'가 발족됐다. 이런 중에 지난달 초 대구가 초등학생 전면 무상급식, 울산이 중학생 전면 무상급식을 발표했다. 무상급식 전면 실시에 머뭇거리던 지방자치단체는 바빠졌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학부모와 시민단체 등의 요구를 외면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인근 지자체 움직임도 고려됐다. 영주, 안동, 포항, 영천, 경산이 전면 확대 실시에 나섰다. 저학년, 다자녀, 다문화로 한정했던 것을 내년부터 전 학년 무상급식 확대로 방침을 바꿨다. 결국 5일 구미, 6일 문경, 상주가 초등학생 전면 무상급식 실시를 선언하면서 전국 초등학생의 무상급식은 일단락됐다.

하지만 중'고생 무상급식이 숙제로 남았다. 내년부터 대구, 대전, 경북을 제외한 전국에서 중학생 무상급식이 실시된다. 심지어 강원도는 고교도 무상급식이다. 이찬교 경북친환경무상급식추진운동본부 상임대표는 "친환경 재료 등 무상급식의 질도 중요한 과제"라며 "교육청과 지자체의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경북도교육청은 "향후 지자체와 적극 협의해 무상급식 확대에 머리를 맞대겠다. 특히 급식의 질이 중요한 문제인 만큼 양과 질을 함께 늘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