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바른정당·국민의당 내달까지 '신설 합당'…통합추진협의체 출범

의원들 당적 그대로 승계, 제3세력 대통합 추진 다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내달 중 신설 합당 방식으로 통합을 완료하기로 하고 관련 절차에 돌입했다. 국민의당 이언주'이태규 의원과 바른정당 오신환 원내대표'정운천 의원은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통합추진협의체(통추협) 출범식을 겸한 첫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통합 방식에 합의했다.

양당은 "대한민국의 낡은 정치를 청산하고 새로운 개혁 정당의 탄생을 염원하는 국민의 준엄한 뜻을 받들어 구시대 전유물인 지역주의를 극복하고 합리적 개혁 세력의 통합을 도모한다"고 뜻을 모았다. 또 "통합 정당은 양당의 단순한 합당이 아닌 '신설 합당' 방식을 취하기로 했으며 이 과정에서 정치 변화와 개혁을 열망하는 제3세력의 대통합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신설 합당이란 새로운 정당을 만든 뒤 신당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을 사실상 흡수하는 방식이다. 의원들의 당적이 그대로 승계되는데다 절차가 간소한 장점이 있다. 통추협은 "양당 당원의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 2월 이내에 통합 완료 노력을 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양당에 공동 실무지원팀을 두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국민의당 내 통합 반대파의 저항과 바른정당 소속 광역자치단체장들의 뜨뜻미지근한 반응은 넘어야 할 산이다. 국민의당 내 통합 반대 진영에선 합당 안건이 상정될 전당대회를 무제한 토론을 통한 합법적 의사진행방해(필리버스터)로 무산시켜야 한다는 강경론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통합 반대파인 이상돈 의원이 전당대회 의장으로서 통합 안건 상정과 통과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바른정당 내에서도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가 양당 통합에 대해 회의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치권에선 통합 신당이 통합 과정에서 얼마나 세를 불리느냐에 따라 올해 지방선거에 미칠 파장도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양당 구상대로 두 당이 온전히 합치고 정당과 시민단체 등 보수세력까지 흡수한다면 명실공히 제3세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국민의당에서 호남계가 이탈하고, 바른정당에서 현직 광역자치단체장이 탈당하는 반쪽 통합이 이뤄질 경우 신당의 영향력은 찻잔 속 태풍에 그칠 수 있다.

이와 함께 통합에 성공하더라도 당내 주도권을 둘러싼 당내 계파 간 힘겨루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방선거 공천권을 둘러싸고 당내 대주주들이 지분 다툼을 벌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 관계자는 "시류에 따라 얼기설기 엮은 정당으로는 선거에서 이길 수 없다. 출항도 하기 전에 내분으로 좌초하는 경우도 많았다"며 견제구를 날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