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대구공항 이전과 상생

통합대구공항 이전후보지 결정권이 결국 국방부 손에 넘어간다는 기사를 보면서 그동안 대구·경북·군위·의성 4개 단체장이 합의해 좋은 결과를 내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너무 컸던 탓인지 노심초사한 결과가 기대에 못 미쳐서인지 공허함이 밀려온다.

국방부는 지난해 12월 15일 공항 이전과 관련한 4개 지자체가 이전후보지를 합의해 오면 수용하겠다고 제안한 바 있다. 이는 이전지 선정에 관하여 국방부에서 많은 양보를 보여준 사안으로, 무조건 군사적 관점으로만 공항 이전 문제를 보지 않고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민간공항까지 한 번에 옮겨 갈 수밖에 없는 현실에 대해 보다 더 지역민의 민의를 존중해 주겠다는 뜻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후 4개 지자체는 공항 이전 실무위를 구성하고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였다. 그러나 지난 15일 의성군이 돌연 실무위 불참을 선언했다. 그리고 전문가위원회의 역할을 두고도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황금 같은 시간만 허비하고 말았다. 전문가위원회에서 결정하자는 주장과 전문 용역기관에 의뢰하자는 주장만을 되풀이하면서 결국 국방부에서 제시한 합의 시한을 아무 성과 없이 넘겨버렸다.

그동안 4개 지자체장도 세 번을 만났고 이전지 결정에 지역민의 뜻을 반영해 줄 것, 2018년 10월 말까지 이전부지를 선정해 줄 것, 현재 예비이전후보지 2곳 모두를 이전후보지로 선정해줄 것이라는 요구안을 19일 결정하고 회의를 끝냈다.

공항 이전 논의의 핵심 사안이 무엇이던가? 무작정 군사공항이 시끄러우니 다른 지자체로 이전하라는 집단이기주의의 발로가 아니라, 공항이라는 특수 시설의 제한으로 발이 묶인 도심 지역과 이전지의 경제발전을 함께 하자는 것이고 낙후된 공항 시설 현대화와 중대형기의 이착륙이 가능한 활주로와 주기장을 마련해 대구경북 미래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자는 것이다.

군사공항 이전 요청지가 이곳 대구경북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수원과 같이 주민들이 합심하여 군사공항 이전을 요구하고 있는 지역이 있고, 현대전의 최강 전력인 항공 시설이 한 번에 여러 곳 이전될 수 없음이 자명함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지지부진 시간만 허비하다 타 지역 공항 이전안이 통과된다면 대구경북의 발전이 얼마나 더 늦추어질지는 예측도 하기 어렵다.

그나마 위안이 되는 것은 이 요구안을 국방부에서 받아들여 현재 예비이전후보지 2곳이 모두 이전후보지로 선정될 경우 예비이전후보지가 이전후보지 단계로 넘어가는 6개월 정도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다가올 지방선거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하여 아전인수 격으로 공항 문제를 이용하고자 이번 합의안을 이행하지 않는 지자체장이 있다면 지역민이 책임을 물을 것이다.

대구경북에 필요한 것과 시도민이 하나 되어 간절히 원하는 것은 소음 문제, 고도 제한이 없어진 도심에 물산업, 의료산업, 전기차, 4차 산업 시설들의 입주로 대구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는 것이고, 외국의 바이어가 대구경북을 찾기 위해 인천공항을 경유하지 않아도 되는 그런 공항을 두고 구미의 전자산업, 포항의 철강산업 등 대구와 경북이 잘 짜여진 하나의 경제권으로 함께 상생 발전하는 것이다.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지역민의 간곡한 뜻을 국방부에서도 꼭 존중해 주길 부탁드리며, 우리 지역민이 마시는 고배는 한 번으로 끝이 나고 상생 발전이라는 미주(美酒)가 대구경북 시도민 모두에게 골고루 돌아가길 희망해 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