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에서 기업 신용대출이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자금공급인 이른바 '생산적 대출' 비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15일 발표한 '은행의 생산적 자금공급 현황' 자료에서 기업대출 잔액 중 생산유발, 일자리 창출, 신용대출 등 3가지 측면으로 구분한 뒤 영향력'감응도 계수, 고용유발계수 등으로 가중치를 부여해 생산적 대출액을 뽑아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은행의 기업대출 규모는 늘어나고 있지만, 전체 대출에서 기업대출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2013년 말만 해도 전체 대출 잔액 중 기업대출 비중은 49.5%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말에는 46.7%까지 떨어졌다. 기업대출 중 개인사업자를 제외한 법인 대출 비중은 2010년 말 34.3%에서 2017년 말 26.3%까지 하락했다.
같은 기간 기업대출 중 담보대출 비중은 48.3%에서 65.2%로 16.9%포인트(p) 올랐고, 부동산업 비중은 17.0%에서 25.1%로 8.1%p 올랐다.
이 때문에 정부가 강조하는 생산적 대출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다.
신용대출 기준으로 총대출 대비 생산적 대출 비중을 보면 2010년 말에는 25.2%였지만, 지난해 말에는 16.2%까지 하락했다.
이처럼 기업 부문에 대한 자금공급 기능이 약해진 것은 2014년 이후 기업구조조정이 본격화한 데다 가계대출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 등 안전자산 위주로 여신정책을 변경해서다.
김영주 금감원 신용감독국장은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사항의 적극적인 이행과 함께 은행 자율적인 개선 노력을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