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역사적인 첫 북미 정상회담 테이블에 앉는 가운데, 현지에서 회담 실무준비에 나선 양국 대사관이 규모와 인력 등에서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1975년 싱가포르와 수교한 북한의 현지 대사관은 노스 브릿지 1번가의 하이스트리트 센터 빌딩 15층에 있는 10개 사무실 가운데 1개를 임차해 대사관 사무실로 쓴다.
이 건물 15층에는 북한 대사관뿐만 아니라 외국어 학원과 사무용품 업체, 식음료업체 등의 사무실도 있다.
건물 외부는 물론 엘리베이터, 15층 복도 어디에도 대사관의 입주 사실을 알리는 표식은 없다.
폭 1m, 높이 2m가 조금 넘는 유리 재질의 출입문 옆에 내걸린 동(銅) 재질의 현판만이 이곳이 북한 대사관임을 알려준다. 별도의 경비실도 없기 때문에 누구나 사무실 문을 두드릴 수 있다.
2016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오기 전까지 북한 대사관은 싱가포르 동쪽 외곽의 주치앗 레인에 있는 방 5개짜리 주택을 임차해 사용했다.
현재 싱가포르 주재 북한 대사관에는 김철남 대사 이외에 직원 3명이 전부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싱가포르와 1966년 수교한 미국 대사관은 다른 대부분의 국가에서와 마찬가지로 외교가의 요지에 웅장한 모습으로 들어서 있다.
시내 중심가인 네이피어 로드 한가운데 위치한 미국 대사관은 위풍당당한 구조물로 싱가포르 외무부 청사를 비롯해 중국, 영국, 호주 대사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대사관으로 진입하려면 대로변에서 좁은 연결도로를 지나야 한다. 대사관 주위에는 검은색 철제 펜스가 있고 경비실을 거쳐야만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 발표된 이후 미국 대사관 측은 기자들의 청사 접근을 철저하게 차단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