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성지 주변의 경관 훼손은 안 된다."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해 그런 걱정은 안 해도 된다."
26일 영주시청 강당에서 열린 영주 선비세상 모노레일 주민공청회는 모노레일 설치에 대해 '된다' '안 된다'로 갈린 의견충돌로 뜨겁게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시민, 공무원, 시의원, 환경단체, 대학교수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메웠다.
이날 공청회는 경상북도 투자심사에서 모노레일 사업이 재검토 대상으로 반려된데다 이 사업을 두고 환경단체와 주민반대의 반대가 계속되자 영주시가 마련했다.
선비세상 모노레일 설치사업(안)은 2020년 준공예정인 선비세상(한국문화테마파크) 사업부지 내 2.8km 구간(선비촌주차장~매화공원)에 순환형 모노레일을 설치, 관광객 이동 편의와 새로운 관광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반대 측 토론자로 나선 김경락(시정감시단) 씨는 "세계문화유산에 잠정등록된 소수서원은 유교의 성지이다. 이곳에 주위경관을 해치고 자연환경을 훼손하면서까지 모노레일을 설치하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사업수지분석과 타당성조사도 신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사업타당성조사에서 모노레일이 없는 곤지암 도자공원을 기본설계로 사업비를 산정한 것은 전혀 다른 형태의 주체를 비교 대상으로 삼은 것이며 단순히 관광객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100억 원을 투입하는 사업은 정당성과 명분이 없다"고 강조했다.
방청객 윤옥식 씨는 "이미 방향을 정해 놓고 틀에 끼워 맞추는식은 공청회가 아니다. 영주관광산업의 성패를 좌우할 100억원 짜리 사업공청회 자료가 달랑 A4지 한 장뿐이니 시민을 우롱하는 처사다"고 비판했다.
찬성 측 토론자인 김도헌 동양대교수는 "사적과 동산문화재, 도문화재위원회 등 여러 개의 심의를 거치고 경관 등도 종합적으로 심의하기 때문에 문화재 등의 훼손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정혁상 동양대교수도 "모노레일은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해 자연'문화재 훼손 등은 최소화한다. 소음 피해도 없고 일부 구간의 구조물은 지하로 해 경관에 저촉되지 않게 조성할 수 있다"고 했다.
영주시 관계자는 "사업설명과 추진계획 등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의견을 수렴해 보다 나은 사업(안)을 도출하기 위해 공청회를 개최했다"며 "전통건축 회랑 등 차폐시설 활용과 설치 구조물 형태 등을 최소화하는 등 기술적인 방법을 동원, 경관을 저해하는 일이 없도록 사업 계획을 수정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