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0.6%로 잠정 집계됐다.
올해 1분기 성장률보다 0.4%포인트 낮고, 7월 발표된 2분기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내려갔다.
설비투자는 2년 3개월만에, 민간소비는 1년 반만에 가장 부진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97조9천592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6% 증가했다.
분기별 GDP 성장률은 작년 4분기 -0.2%에서 올해 1분기 1.0%로 뛰었으나 2분기에 다시 내려갔다.
성장률은 7월 발표된 2분기 속보치(0.7%)보다도 0.1%포인트 낮아졌다.
설비투자 증가율이 속보치보다 0.9%포인트 올라갔으나 건설투자(-0.8%포인트), 수출(-0.4%포인트), 수입(-0.4%포인트) 등이 줄줄이 하향 조정됐다.
2분기와 상반기 전체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8%다.
정부와 한은의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2.9%) 달성에 노란불이 켜진 것이다.
한은이 10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할 가능성도 올라갔다. 이렇게 되면 10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 기대에 힘이 빠질 수 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0.3% 증가해 2016년 4분기 이후 가장 부진했다.
정부소비 증가율도 0.3%로, 2015년 1분기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건설투자는 -2.1%였다. 건설투자는 올해 1분기 1.8%에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축소 등의 여파로 주거용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었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5.7%였다. 속보치보다 개선됐는데도 2016년 1분기 이래 가장 부진했다.
수출은 0.4%, 수입은 -3.0%로 집계됐다. 수입 증가율도 2011년 3분기 이래 최저였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증가율이 1분기 1.6%에서 2분기 0.6%로 뚝 떨어졌고 건설업은 2.1%에서 -3.1%로 마이너스 전환했다. 건설업 증가율은 2012년 1분기 이래 최저다.
서비스업 증가율도 1분기 1.1%에서 2분기 0.5%로 반토막이 났다.
1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계절조정기준)은 전 분기보다 1.0% 감소했다.
GNI는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소득 등을 합친 지표다.
실질 GNI는 작년 4분기 -1.2%에서 올해 1분기 1.3%로 개선됐으나 반년만에 다시 고꾸라졌다. 유가 상승에 따라 교역조건이 악화해서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