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135억원 들여 식물백신 기업지원시설 만든다

경북도가 올해부터 3년 간 총사업비 135억원을 들여 짓는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안의 식물백신 기업지원시설 조감도.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올해부터 3년 간 총사업비 135억원을 들여 짓는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안의 식물백신 기업지원시설 조감도. 경북도 제공

경북도에 국내 최초의 '식물백신 기업지원시설'이 들어선다.

경북도는 10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식물백신 기업지원시설 건립' 공모사업 최종 사업대상자로 선정돼 사업비 총 135억원(국비 60억원, 지방비 75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도는 올해부터 3년 간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에 부지 6천840㎡(연면적 4천628㎡), 지상 3층 규모의 식물백신 기업지원시설을 조성하게 된다.

식물백신은 특정 병원(病原)의 DNA로 형질전환한 식물세포나 식물체를 이용해 생산하는 백신이다. 기존 백신과 달리 바이러스를 직접 배양하지 않아 병원체의 전파 위험이 없다. 또 식물배양이 쉬워 대량생산이 가능해 질병 확산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현재 식물체를 활용한 백신 개발은 미국, 일본, 캐나다, 유럽 등 각 국에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닭 뉴캐슬병(2006년·미국), 고셔병(2012년·미국), 개 치주염 치료제(2013년·일본)와 2014년 아프라카에서 발병한 에볼라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지맵(ZMapp) 등이 대표적이다.

식물백신 산업 육성을 통해 돼지열병 등 가축 질병 분야의 백신 수입을 대체하고 가축질병 분야 대응력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 산업이 차세대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성장할 것으로 경북도는 전망하고 있다.

경북도는 앞서 식물백신 산업 육성을 위해 원천기술을 보유한 포스텍과 식물백신 분야의 대표 기업인 (주)바이오앱(포항 소재) 등 3개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식물백신 분야 산학연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