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대구시장과 경상북도지사 간 상호 교환근무가 진행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된 이래 대구경북에서는 처음 시행되는 파격적인 시도이다. 이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직면해 있는 각자의 어려움들을 함께 해결해 보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최근 대구와 경북은 인구 유출, 고령화, 지방자치단체 소멸 등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대구에서는 해마다 5천여 명의 청년이 일자리를 찾기 위해 타지로 이동하고 있고, 경북은 17개 시도 중 평균연령이 전남 다음으로 높으며, 23개 기초지자체 중 19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실정이다. 이제는 이러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지역의 존폐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렇다면 이와 유사한 어려움을 안고 있는 지자체들은 반드시 각자의 노력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것일까.
해외에서는 인근 지자체끼리 협업하여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시도들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그중 영국 맨체스터는 1970년대 이후 섬유산업이 쇠퇴하면서 도시경제가 심한 타격을 받고 산업구조조정의 길을 겪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도시 중심부의 재생사업이 시작되었는데, 인근 10개 지자체가 연합하여 공통의 문제에 대처하기로 하였다. 이때 형성된 것이 바로 광역맨체스터도시권(Greater Manchester Combined Authority·GMCA)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거버넌스 체계들은 기존의 로컬 단위의 행정구역 체계로는 해결할 수 없는 광역적 이슈들, 경제개발, 토지, 주택, 도로 등의 인프라 조성 계획과 고용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공간적 단위로 널리 알려져 있다.
대구경북 또한 혁신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도입하기 위해 2006년 전국에서는 최초로 '대구경북경제통합추진위원회'를 발족하였으며, 이는 2014년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 발족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 속에서 지역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한뿌리상생 사업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소통과 상생협력 문화의 제도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 인식으로부터 대구경북은 지난 8월 13일 경제공동체 실현, 문화관광 공동 발전, 산학관 공동 융복합 인재 양성, 광역 교통 인프라 구축 등을 골자로 하는 대구경북 한뿌리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계기로 시도지사 교환근무뿐만 아니라 국과장급 인사 교류, 지역 혁신 인재 양성 등에 대한 협업을 통하여 대구와 경북이 상생협력의 톱니바퀴를 함께 굴려갈 참이다. 앞으로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 대구 취수원 이전, 외국인 투자유치사업, 문화예술사업 교류 협력 추진 등 경제·문화공동체를 넘어 대구경북의 재도약을 위해 지역 시도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대구와 경북은 1981년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되어 경북으로부터 분리되기 전까지 정치·경제·역사·문화·지리적으로 한 뿌리였다. 이제 다시 550만 시도민의 염원을 모아 상생협력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한자리에 모인 만큼 다시금 대구경북이 대한민국의 찬란한 문화를 일구고 경제발전을 이끌어가는 날을 기대해 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