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남대를 바로 잡아야 나라가 바로 서…민립대학을 시민 품으로 돌려야"

경주 최부자 후손 최염 선생 '구 대구대학과 한국 현대사' 강연
"삼성 이병철이 임의로 대구대학을 박정희에게 헌납” 증언

경주 최부자 후손 최염 회장이 3일 오후 대구향교 대강당에서
경주 최부자 후손 최염 회장이 3일 오후 대구향교 대강당에서 '(구)대구대와 한국현대사'를 주제로 강연회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msnet.co.kr

"영남대를 바로 잡아야 나라가 바로 섭니다. 나라 발전에 기여해온 박정희 대통령과 삼성 이병철의 공적은 역사에서 평가받을 것입니다. 하지만 대학과 교육을 둘러싼 부분에 있어서는 과(過)가 뚜렷이 있다는 부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한국판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전형인 경주최부자의 후손 최염(86) 선생이 3일 오후 대구항교 유림회관 대강당에서 '구 대구대학과 한국현대사' 를 주제로 강연을 했다.

그는 1947년 옛 대구대학 설립을 주도한 문파(汶坡) 최준(1884년~1970년) 선생의 주손(胄孫·맏손자)이다. 현재 영남대의 전신인 옛 대구대학은 상해 임시정부 재정을 지원해온 독립지사 경주최부자 후손 최준 선생이 설립을 주도했고, 당시 대구경북 유림 20여 명이 뜻을 함께 해 모금 활동을 펼쳐 '민립 대학'으로 출범했다. 건국 이후 토지개혁과 군사정부의 대학정비령에 따라 가산을 다 털어 더 이상 사재 출연이 어려워진 최준은 '한강 이남 최고 대학으로 키우겠다'는 삼성 이병철에게 대구대학을 넘겼다.

최 씨는 "할아버지가 민족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재 육성과 대학 발전을 위해 어떠한 대가 없이 경영권을 위탁했지만, 이병철은 임의로 대학을 박정희에게 헌납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또 "대구대학은 1967년 청와대가 경영권을 가진 청구대학과 합병돼 현재의 영남대로 만들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설립자인 할아버지에게는 알리지도 않고 강제로 합병이 이루어졌다"고 술회했다.

이후 12·12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정권의 배려로 1980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영남대 재단이사장으로 등장하게 된다. 대학 정관에는 교주를 박정희로 명시했다.

"위탁경영하던 삼성이 대학을 사유물인양 정권에 헌납한 행위는 한국현대사의 뼈아픈 질곡(桎梏)입니다. 당시에 민(民)은 없고 사(私)만 존재하는 기형적인 대학의 본보기로 바꾸는 통에 이 나쁜 선례가 대한민국을 뿌리 채 좀 먹고 있습니다. 이를 바로 잡지 않고서는 나라가 바로 설 수 없습니다."

그는 영남대는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의 대학으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영남대가 '대구시립대학교'로 재편돼 많은 인재들이 등록금 부담없이 마음놓고 공부할 수 있도록 조성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입니다. 그렇게만 된다면 우리 집안으로서도 그 이상의 영광이 없을 것입니다."

한편 경주최부자민족정신선양회와 영남대정상화대책위원회가 공동 주최한 최 씨의 강연회에는 지역 문중, 유림 단체, 학계, 시민 등 400여 명이 찾아 대구향교 대강당을 가득 메웠다.

정지창 영남대 전 부총장, 석주 이상룡 선생 후손인 이항증 전 광복회 경북지회장, 서훈 전 국회의원이 축사를 했고, 이부영 전 국회위원,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정대화 상지대 총장 직무대행, 이상욱 영남대민주동문회장 등이 참석했다.

3일 오후 대구향교 대강당에서 열린
3일 오후 대구향교 대강당에서 열린 '(구)대구대와 한국현대사' 강연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경주 최부자 후손 최염 회장의 강연을 듣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