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음식물쓰레기처리장 지하에 건설하나

기존 처리장 2020년 운영 중단에 따라 대안 찾기 골몰

포항시 음식물쓰레기처리장(이하 처리장)을 지하에 건설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기존 처리장이 2020년 6월 운영을 중단하는 데 따른 것이다.

포항시는 철강공단과 시 일부 지역 등을 후보지로 놓고 지하에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찌꺼기를 섞어 처리하는 시설을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모델은 음식물쓰레기처리장을 지하에 만들어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경기도 안양의 하수처리장이다. 안양의 경우 지상에는 공원을 만들어 악취 민원 등을 없애고 바이오가스를 생산해 전기를 만들어 판매하면서 수익까지 내는 1석 3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포항시와 시의회는 음식물류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신규 시설을 건설하는 방안을 잠정 확정하고, 철강공단을 비롯해 시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최적지를 찾고 있다.

철강공단의 경우 주민 민원이 거의 없고, 지하에 시설을 건설한 뒤 지상에 공원을 조성하면 부족한 공단지역 녹지대도 확충할 수 있어 유력 후보지로 떠오르고 있다.

포항시에 따르면 지난해 포항지역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는 6만205t으로 하루 평균 발생량은 165t이다. 이 중 하루 140t만 남구 호동에 있는 처리장에서 사료화 작업을 거치고 있고, 나머지 25t은 민간시설에 위탁 처리하고 있다.

포항시는 그동안 처리장 인근 지역의 악취 민원을 해결하고, 처리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리시설을 새로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입지 선정에 따른 민원을 우려해 몇 년째 제자리걸음만 해왔고, 어쩔 수 없이 기존 시설을 개·보수하는 방안도 제기됐다.

이런 가운데 이달 2일 포항시청에서 열린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와 관련한 정책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이 '기존 시설 개·보수는 한계가 뚜렷하다'고 지적, 시는 시설 신설로 가닥을 잡았다.

용역을 수행한 도화엔지니어링 관계자는 "기존 시설을 개선할 경우 대보수 기간 중 발생하는 음식물류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을 찾기 힘들고, 정비비 등 추가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경제성이 낮다"며 "신규 음식물처리시설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달 2일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에 대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포항시 제공
이달 2일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에 대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포항시 제공

이광희 포항시 자원순환과장은 "주민들의 악취 민원 등을 고려해 신규 시설을 지하에 짓는 방안을 포항시의회와 함께 추진하고 있다"면서 "지상에는 공원과 스포츠시설 등 주민편익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