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7.5의 강진에 이은 지반 액상화 현상으로 땅에 삼켜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마을들을 '집단무덤'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7일 현지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위란토 인도네시아 정치법률안보조정장관은 중앙 술라웨시 주 팔루 시 외곽의 발라로아와 페토보 등 2개 지역을 집단무덤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숙고 중이라고 전날 밝혔다.
이 지역에선 지진의 영향으로 지하수가 올라와 지표면 주변이 물러지는 지반 액상화 현상이 발생해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
페토보 마을은 거의 통째로 진흙에 파묻혔고, 발라로아도 상당 구역이 파손됐다.
앞서 인도네시아 국가수색구조청은 발라로아에서만 1천 채 이상의 주택이 매몰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1천 명 이상이 땅에 묻혔을 수 있다고 전했다.
위란토 장관은 물러진 지반 때문에 중장비를 동원할 수 없어 구조가 사실상 어려운 만큼 수색을 중단하는 방안을 현지 당국 및 실종자 유족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28일 오후 6시께 술라웨시 섬 동갈라 리젠시(군·郡)에선 규모 7.5의 지진이 발생했다.
6일 낮까지 집계된 사망자는 1천649명이다. 실종자는 265명, 중상자는 2천549명이고, 이재민 규모는 6만2천359명으로 파악됐다.
사망자 대부분은 진앙에서 약 80㎞ 떨어진 팔루와 주변 지역에서 확인됐다.
지진으로부터 20분 뒤 높이 5∼7m의 쓰나미가 닥쳐 해안이 초토화된 데다 지형 조건상 액상화에 취약해 내륙에서도 심각한 피해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반면, 진앙 주변 마을들은 사망자가 수십 명 내외로 비교적 피해가 덜했다.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보다 세 시간 앞서 같은 지점에서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주민 대부분이 일찌감치 고지대 등으로 대피했기 때문이다.
정글과 강에 인접해 지하수가 풍부한 팔루와 달리 이 지역에서는 지반 액상화 현상도 일어나지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